[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현대건설은 협력사 제안 기반의 설계·구매·시공 최적화 성과를 함께 공유하는 ‘성과공유형 VE(Value Engineering) 보상제도’를 본격 가동한다고 29일 밝혔다.
![]() |
현대건설 계동 사옥(사진=현대건설) |
현대건설이 새로 도입하는 이 제도는 협력사가 제안한 설계·구매·시공 VE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품질 혁신·작업공정 개선 등 원가절감에 나선 뒤 협력사가 창출한 성과의 50%를 보상하는 구조다. 국내 건설사 중 이 같은 성과 보상 제도를 공식 도입한 것은 현대건설이 처음이다.
‘성과공유형 VE 보상제도’는 7단계로 나뉜다. 협력사 제안은 1차 타당성 검토와 2차 실효성 평가를 거쳐 VE 제안서 제출, 계약 변경, 공사수행, 성과 정산으로 이어진다. 성과 지급 방법 및 정산 기준 등도 마련했다. VE 제안은 발주처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지, 공정 지연 또는 안전성이 저하되지 않는지 등 다각적으로 검토되며 실효성과 실행 가능성이 확인된 경우에 한해 채택된다.
이번 제도는 토목·뉴에너지·플랜트 사업본부의 국내외 자재 및 하도급 계약 현장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되며 향후 건축·주택 사업본부까지 확대 적용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제도는 협력사의 기술 제안을 제도적으로 수용하고, 실질적인 성과로 환원하는 구조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기술 기반의 협력 체계를 고도화해, 장기적인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