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로 건강 되찾고 사업도 성장… 이젠 되돌려 줘야죠”[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17 hours ago
1
환경·에너지 장비 기업 지앤비에스 에코 박상순 회장(65)은 (사)한국SS스포츠진흥협회를 만들어 테니스 유망주를 키울 기대에 부풀어 있다. 그는 “난 테니스로 다시 태어났다. 건강도 되찾았고, 그 덕분에 사업도 많이 성장했다. 테니스에 큰 신세를 진 것이다. 그래서 그 고마움을 다시 테니스에 돌려주고 싶었다”고 했다.
박상순 지앤비에스 에코 회장이 경기 남양주체육문화센터 테니스코트에서 날아오는 공을 받아넘기고 있다. 2015년 극심한 스트레스를 떨치기 위해 다시 테니스를 치기 시작한 박 회장은 “테니스로 건강도 되찾고 사업도 성장했다”며 테니스 유망주 지원 사업에도 나섰다. 남양주=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사연은 이렇다. 박 회장은 2011년 합작했던 프랑스 본사가 다른 회사에 합병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국내 법인도 그 영향권에 들었고, 결국 지분 다 팔고 나오는 과정에서 배신을 당하는 등 심신이 피폐해졌다. 2013년 새롭게 사업을 시작한 그는 그즈음 20년 가까이 등한시했던 테니스를 다시 치기 시작하면서 심신 건강을 되찾은 것이다.
“한 3년 넘게 시달리다 보니 그때 저를 만난 사람들이 다 ‘얼굴이 왜 그렇게 망가졌냐?’고 걱정했었죠. 제가 봐도 얼굴이 엉망이었어요. 만병의 근원이 스트레스였습니다. 건강 관련 TV 프로그램을 봐도 그랬습니다. 당시 제가 1980년대 후반 서울 송파에 신혼살림을 차릴 때 테니스를 시작했던 기억이 떠올랐죠. 2015년쯤 그 시절 함께 했던 형님을 찾아가 다시 라켓을 잡아야겠다고 했고, 함께 테니스 치면서 저를 다시 찾게 됐어요.”
박상순 지앤비에스 에코 회장이 경기 남양주체육문화센터 테니스코트에서 날아오는 공을 받아넘기고 있다. 남양주=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테니스는 게임에만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잡생각을 할 수 없었다. 공을 쫓아 뛰어다니다 보면 땀을 흠뻑 흘렸고, 그렇게 2~3시간 코트를 누비면 완전히 달라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샤워할 때 기분이 너무 좋다. 무엇보다 온전히 테니스만 생각하다 보면 회사의 복잡한 일들을 잠시 잊을 수 있고, 머리가 맑아지니 해결책도 잘 떠오른다”고 했다.
박 회장은 어렸을 때부터 축구 등 뛰어노는 것을 즐겼다. 사회생활 하면서 잠시 잊었지만, 결혼한 뒤 테니스 치는 처남들을 보며 라켓을 잡았다. 송파에 있는 테니스동호회에 가입해 개인 지도까지 받으며 쳤다. 회사에 다니다 보니 주중보다는 주말에 몰아서 쳤다. 1990년 말부터는 사업상 골프 칠 일이 많아 한동안 테니스를 사실상 잊고 살았다.
박상순 회장(가운데)이 지인들과 테니스를 치다 자세를 취했다. 박상순 회장 제공.
“당시는 주말마다 골프장으로 갔습니다. 한번 시작하면 끝을 보는 성격이라 골프도 열심히 쳤죠. 최고 스코어가 2언더입니다. 당시 동반자들은 레귤러 티에서 칠 때 전 백 티에서 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골프는 스트레스를 완전히 날려주진 않더라고요. 한때 허리 디스크 통증으로 고생했고, 골반이 틀어지기도 했죠. 결국 극심한 스트레스에 살고 싶어서 다시 테니스로 돌아온 것입니다.”테니스를 다시 시작한 뒤에는 골프는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지 않고 공휴일과 주말에는 테니스코트로 달려간다. 집이 경기 성남시 판교인데 그 일대는 테니스코트가 없어 서울 송파로 이동해 치고 있다. 사업상 해외 출장이 많은데 공휴일과 주말 전날이나 당일 새벽에 돌아오는 일정으로 잡고, 귀국한 뒤 코트로 향한다.
박상순 회장(오른쪽에서 네 번째)이 지난해 중국 상하이에서 ‘제5회 박상순배 아시아투어 테니스대회’를 개최하며 참가자들과 카메라 앞에 섰다. 박상순 회장 제공.
“처음 테니스를 칠 땐 승리욕이 앞섰습니다. 복식을 많이 치지만 가끔 단식도 쳤는데 저를 무시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든 잡으려고 했죠. 지금 와서 생각해 보니 참 부질없는 일이었습니다. 즐겁게 재밌게 치는 게 좋았는데…. 이젠 승부보다는 테니스를 즐기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박 회장은 테니스를 잘 치기 위해 2가지 원칙을 세웠다. 매일 1시간 이상 걷고, 목요일 이후 주말까지는 절대 음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나이가 들수록 반사 신경이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비즈니스상 어쩔 수 없는 경우를 빼곤 술도 자제하고 있다”라고 했다. 그리고 틈나는 대로 회사에 마련된 피트니스센터에서 가볍게 상·하체 근육운동도 하고 있다.
박 회장은 테니스를 통한 사회공헌 활동도 시작했다. 2022년 고교 2학년이던 테니스 유망주 명세인(20)을 2년간 2억 원을 후원했다. 명세인은 세계 투어를 뛰며 세계 주니어순위를 끌어 올려 미국 대학의 손짓을 받았고, 캘리포니아주립대를 거쳐 스탠퍼드대에 진학했다. 명세인은 박 회장 지인의 딸로 어릴 때부터 지켜보며 ‘새로운 사업을 시작해 성장하면 후원해 주겠다’고 했고, 회사가 2021년 코스닥에 상장된 뒤 약속을 지킨 것이다. 박 회장은 투자한 결과가 좋게 나타나 너무 기뻤다. 박 회장이 한국SS스포츠진흥협회를 만들어 본격적으로 테니스 유망주를 키울 계획에 나선 이유다. 개인 후원을 하면 양도 세금도 많이 내야 하고 세제 혜택도 없었다.
박상순 회장이 테니스를 치고 있다. 박상순 회장 제공.
“유망주를 후원하며 주니어테니스의 현실을 봤더니 형편없더라고요. 대한민국이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지만, 테니스 등 스포츠의 현실은 너무 열악했습니다. 테니스의 경우 선수 전용 코트가 부족하고, 지도자들의 수입도 불안했어요. 후원자도 거의 없었죠. 테니스 선수가 해외 투어 뛰려면 1년에 1억 원은 필요합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테니스 발전에 힘을 보태기 위해 단체를 만들었습니다.”
박 회장은 이 단체를 통해 테니스 유망주들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수도권 일대 보육원에서 테니스 교육 사업도 병행한다. 경기 의왕시 안성시 등 보육원 후원도 하고 있는데 지켜보면서 새롭게 얻은 아이디어다.
“보육원의 아이들은 만 19세가 되면 정착 지원금 1000만 원을 받고 퇴원해야 하는데 대부분 자립해 사회에 적응하기 쉽지 않아요. 그래서 테니스 유망주를 발굴해 선수로 육성하며 지도자 교육을 하려고 합니다. 레슨 코치가 되면 그래도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어 독립에 도움이 될 겁니다.”
박 회장은 함께 테니스 치는 선후배들을 위해서 대회도 만들었다. 2022년 제주도 서귀포에서 ‘제1회 박상순배 전국투어 테니스대회’를 만들었다. 처음엔 친목을 위해 만들었는데 아시아투어를 뛰는 유망주들을 응원하기 위해 대회 이름을 ‘박상순배 아시아투어 테니스대회’로 바꿨다. 일본 가고시마, 중국 상하이 등을 다녀왔다. 그는 “아시아 투어를 뛰는 유망주들을 응원하러 가서 우리들끼리도 자체 대회를 한다. 상금도 걸렸다. 즐겁게 재밌게 테니스 치기 위해 만들었다”고 했다.
박상순 회장이 경기 남양주체육문화센터 테니스코트에서 라켓과 공을 들고 밝게 웃고 있다. 남양주=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이제 유망주들을 위해 더 테니스에 관심을 가지며 사업도 열심히 해야겠다”는 박 회장의 얼굴에선 웃음이 사라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