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마약·도박 중독 비대면 전문상담 수요 급증

10 hours ago 1

청소년약물안전상담센터 등 비대면 상담 플랫폼 강화돼야

최근 몇 년 사이 청소년들 사이에서 마약, 약물, 도박 등 중독 문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병원 치료나 공공상담기관의 접근 방식만으로는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청소년(10대) 마약사범은 약 1,477명으로, 2019년(239명) 대비 약 6.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를 통한 구매, ‘던지기’ 방식 유통, 해외직구형 수법 등 비대면·비접촉 유통 방식이 확산되면서 접근 연령은 점점 더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도박 역시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 청소년의 도박 경험률은 약 4~5% 수준이며, 일부 지역(예: 호남권)의 경우 6.4%까지 높아져 실제로 10명 중 1명 가까이가 도박에 노출된 지역도 존재한다.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2024년 4월에는 부산의 한 중학교 2학년 학생이 필로폰 투약 혐의로 경찰에 검거됐고, 같은 해 5월에는 경기도의 고등학생이 도박 빚 문제로 부모와 갈등을 빚다 자해 시도를 한 사건도 발생해 청소년 중독 문제가 실생활에서도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독 초기 단계에서의 개입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면서도, 현실에서는 청소년들이 병원 진료나 정신건강센터 이용을 꺼리는 경향이 커 접근이 쉽지 않다고 지적한다.

청소년 중독 문제 해결이 어려운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치료의 문턱’에 대한 거부감이다. 병원 치료 시 남게 되는 진료 기록, 정신건강 관련 정보 노출에 대한 우려, 주변 시선 등으로 인해 청소년 당사자들이 상담과 치료를 회피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대면 상담에 대한 심리적 부담, 낯선 사람에게 속마음을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불편함도 문제 해결을 가로막는 요소로 꼽힌다.

이에 따라 기존의 대면 위주 공공상담 시스템만으로는 실제 청소년 당사자들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비대면 상담 플랫폼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 상황 속에서 ‘청소년약물안전상담센터’가 효과적인 중독 개입 및 상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센터는 청소년 중독 문제에 특화된 비대면 전문상담 플랫폼이다.

중독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상담센터에 접수되는 문의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상담 활동을 통해 센터는 실질적 대응 역량과 현장 중심의 전문성을 꾸준히 강화해오고 있다.

청소년 중독 문제는 ‘위기의 개인’을 넘어서 가정과 지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위협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청소년 스스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안전한 통로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청소년약물안전상담센터는 요구에 응답하며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실질적 개입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중독 대응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병원 진료를 꺼리는 청소년, 대면을 두려워하는 내담자, 기록을 남기기 꺼리는 보호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국적 확대 및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