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웅섭 대한방사선종양학회 홍보이사(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이처럼 고도화된 치료를 안전하게 하려면 물리, 공학, 임상을 아우르는 전문의 설계와 판단이 필수다. 그러나 정작 국내 의료 현장은 이런 첨단을 지킬 사람을 잃고 있다. 현재 전국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는 불과 4명이고 상당수 수련병원은 지원자가 0명이다. 이미 대표적인 전공의 기피과로 굳어졌다. 곧 현역에서 일하는 전문의는 300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필수의료 정책 논의에서 방사선종양학은 늘 수술과 응급의료 뒤에 가려진다. 매일 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핵심 치료를 담당하지만, 필수의료 명단에서 빠져 정책적 지원은 거의 없다. 흔히 필수의료라고 하면 수술과 응급실을 떠올리지만, 암 치료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방사선치료도 정밀도를 앞세워 수술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정밀 의료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이 없다면 아무리 좋은 기계와 기술도 무용지물이다. 환자는 더 정밀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치료를 원하고, 젊은 의사들은 미래가 보이는 근무 환경을 원한다.
최근 언론에 보도된 한 조사에서 방사선종양학과는 건강보험 저수가 시대에 그나마 원가 보전율이 충분한 진료과로 언급됐다. 그러나 현재의 평가 및 보상체계는 한 대에 수십억 원을 넘는 장비를 적기에 교체하고, 필수 인력을 안정적으로 충원할 수 있는 자원 소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이런 배경 때문에 병원은 결국 도입한 지 10년이 넘는 노후 기계를 ‘연장 근무’시키고, 수지를 맞추려 야간 2부제 치료를 하는 등 운영 방식 변화로 대응한다. 이런 운영 방식 변화의 모든 부담은 고스란히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 몫이다. 낮에는 외래 진료와 환자 치료를 위한 다학제 콘퍼런스, 밤에는 치료기 앞을 지키는 생활이 반복되니 젊은 의사가 이 분야에 매력을 느끼기 어렵다.
지속 가능한 방사선치료를 위해 필요한 것은 필수의료 담론에서 함께 다루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적 결단이다. 장비 투자비를 반영한 전향적 보상과 전공의 교육과 연구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함께 마련될 때 비로소 방사선종양학 미래를 지킬 수 있다. 이는 결국 암환자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필요충분한 기반이다.
금웅섭 대한방사선종양학회 홍보이사(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