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철도공단이 철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통합 설계·시공 특성화·인력 양성을 동시에 추진한다. 공단은 프로세스·인력·기술(PPT) 세 축 아래 19개 과제를 도출해 단계별로 실행에 옮기고 있다.
충북선 고속화 사업은 전면 BIM 적용의 첫 무대다. 철도BIM 실무를 총괄하는 조성희 철도BIM부장은 “철도는 노반 위에 궤도, 전차선, 신호, 통신, 차량까지 얹히는 복합 사업”이라며 “과거에는 노반 설계 이후 시스템 설계를 진행해 변경이 불가피했지만, 충북선에서는 전 분야 동시설계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공단은 설계심사·심의 주요 단계마다 직접 참여해 BIM 이행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데이터 연계와 제도 개선도 병행된다. 조 부장은 “세계적 공정관리 프로그램인 프리마베라6를 활용해 IPS를 작성했고, BIM 객체 단위로 세분화해 4D 공정관리까지 확장했다”며 “다만 현행 조달청 내역서 방식은 5D 적용에 한계가 있어 해외 기준에 맞는 지급 체계로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단은 지난해 '철도 BIM 적용지침'을 제정해 운영에 들어갔다. 올해부터는 현장 애로와 사례를 반영해 수시로 개정하며 설계사·시공사 협업에 적용할 예정이다. 조 부장은 “CAD로 충분하다는 인식이 여전하지만 BIM은 단순한 3D가 아니라 정보가 결합된 데이터”라며 “특히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전면 BIM이 불가피하다. AI와 결합하면 활용 장벽은 더욱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제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대가기준이 없어 발주와 설계변경이 어렵다”며 “설계 BIM 대가는 용역을 발주했고, 시공 단계 대가 기준도 8월 말 발주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철도공단은 향후 BIM을 사업에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유지관리시스템 '라피스(RAFIS)'와 연계할 계획이다. 조 부장은 “현재 충북선 등 3개 설계 사업에서 전면 BIM을 적용 중이며 평택오송 등 9개 시공 사업 55개 공구에서도 진행되고 있다”며 “2028년 평택오송 완료 시점에 전 분야 As-Built 모델을 마련해 RAFIS와 연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BIM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공단은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고 BIM이 철도 건설·운영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