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글을 쓸 때 왜 새끼손가락을 바닥에 대고 쓸까.’ ‘한국 사람은 달릴 때 왜 몸통에 팔을 붙일까.’ ‘한국에서는 주사를 맞을 때 간호사가 왜 엉덩이 볼기를 때릴까.’ ‘한국에서 시집이 잘 팔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프랑스의 작가이자 번역가, 문학평론가인 장클로드 드크레센조가 쓴 <경이로운 한국인>은 한국인이라면 너무 당연해 생각도 안 해봤을 일상을 외국인의 관점에서 고찰한 책이다. 한국과 프랑스에서 최근 동시 출간됐다.
저자는 ‘한국 덕후’다. 2002년 엑스마르세유대에 한국학과를 창설하기도 했다. 한국 문학을 사랑해 한국인 배우자와 함께 김애란 소설 등을 번역해 프랑스에 알리고 있다.
저자가 한국 병원에서 엉덩이 주사를 맞은 일을 당황스러운 경험으로 꼽은 점도 흥미롭다. 대부분 나라에서는 엉덩이 근육 밑으로 중요한 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고 엉덩이 주사를 놓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에서 엉덩이 주사가 선호되는 것은 큰 근육이 분포해 통증이 덜하고 흡수율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나라별 차이점에 관한 서술을 읽는 재미가 있다.
저자는 무엇보다 한국을 경이롭게 보는 이유로 외환위기 당시 온 국민이 금을 모아 국가 부채를 갚는 등 나라가 어두울 때 가장 밝은 것을 들고나오는 국민성을 꼽는다. 위기에 처했을 때 힘을 모아 슬기롭게 극복하는 것에서 한국인의 저력이 나온다고 평가한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