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오면 20만원 돌려준대"…입소문 타고 대박터진 이곳

14 hours ago 2

전남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 동백나무 숲에서 열린 제2회 강진동백축제에 관람객들이 꽃을 바라보며 길을 걷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남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 동백나무 숲에서 열린 제2회 강진동백축제에 관람객들이 꽃을 바라보며 길을 걷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떻게 이런 훌륭한 생각을 하셨죠? 다음에 또 오고 싶고, 주변에도 많이 알릴 생각입니다."

최근 전남 강진군 반값여행을 마친 이용자 A씨는 "(관광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는 게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면서 이 같은 체험 후기를 남겼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여행산업이 침체에 빠지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관광객 여행비용 지원사업이 국내 여행산업 활성화의 새로운 돌파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강진군의 '반값여행' 정책이 이용객 만족도와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동시에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강진 반값여행에 참여한 여행객이 강진에서 소비한 금액은 47억원이다. 강진군이 반값여행 지원금으로 쓴 예산은 22억원으로 예산 대비 소비금액이 더 컸다. 또한 지원금은 강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상품권으로 지급돼 총 69억원이 강진에서 소비된 셈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반값여행이 입소문을 타면서 관광객 유치에도 큰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강진 관광객은 282만명으로 전년 대비 44만명 늘었다.

강진 반값여행은 강진군이 지난해 지자체 최초로 시도한 정책으로 여행비용을 최대 20만원까지 강진 지역화폐로 돌려준다. 환급받은 돈도 강진에서 사용할 수밖에 없지만 이용객 만족도가 높다.

지난해 반값여행을 다녀온 B씨는 "정산금액까지 관내에서 소비하도록 유도한 똑똑한 정책"이라며 "돈을 더 쓰더라도 공짜 소비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 반값여행객 C씨는 "정산금액이 일주일 이내 들어온다고 해서 환급액 쓰러 강진에 다시 와야 하나 싶었는데 신청 당일 들어와 숙소 퇴실 후 식당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었다"며 "다음에는 가족들과 함께 놀러 올 계획"이라고 했다.

강진군의 성공 사례는 전국 지자체에 지방소멸 극복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우수 시책으로 입소문 나고 있다. 이에 경남 산청군, 전남 완도군에 이어 충남 홍성군 등이 유사한 여행비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국내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로를 제시하면서 향후 더 많은 지자체가 이와 유사한 정책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