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생존 송둘째 위협”…봉화·태백 주민들 ‘석포제련소 이전 반대 집회’

3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북 봉화와 강원 태백 주민들이 석포제련소 이전 반대를 위한 집회를 열고, “이전 논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는 제련소가 사라질 경우 지역 공동체와 경제가 붕괴될 것이며, 환경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제련소에 대한 면밀한 검증을 요구했다.

주민들은 경북도가 이전 및 폐쇄 논의를 중단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해법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며 단결의 의지를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제련소 사라지면 경제 기반 붕괴
경북도에 균형잡힌 평가 요구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가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에 반대하는 집회를 갖고 있다.(사진제공-공동투쟁위)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가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에 반대하는 집회를 갖고 있다.(사진제공-공동투쟁위)

경북 봉화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집회를 갖고 “이전 논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봉화군 석포면과 강원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를 논의하는 데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며 “이는 지역의 생존을 송두리째 위협하는 지역 말살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경상북도와 중앙정부는 환경단체의 일일부 주장을 받아들여 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투위는 “제련소가 사라지면 지역 공동체와 경제가 동반 붕괴하고 수많은 근로자와 가족의 생존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이것은 결코 가벼이 여길 수 없는 결정이며 정책 결정자들은 그 책임의 무게를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석포제련소는 2019년부터 폐수 무방류 시스템과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에 매년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왔다”며 “그 결과 제련소 상·하류 수질은 환경기준을 충족하고, 최근 제련소 앞 강에서 수달 서식도 확인되고 있다”며 면밀한 과학적 검증과 균형 잡힌 평가를 요구했다.

이들은 1970년 설립된 석포제련소가 50여 년 간 봉화·태백·석포 지역 주민들의 삶을 지탱해 온 터전이자 수많은 일자리를 제공한 지역 경제의 생명줄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공통위는 “경북도는 주민 생존권을 짓밟는 이전·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제련소·지역사회·주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해법 마련에 나서라”며 “봉화군민과 태백시민은 단결하여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