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 약 800만명) 10명 중 7명은 비수도권 중소기업이라도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귀촌할 의사가 있단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수도권에 거주 중인 베이비부머 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3%는 비수도권 중소기업에서 일할 수 있을 경우 귀촌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특히 남성의 경우 귀촌 의향이 있다는 비율이 79.9%로 여성(66.9%)보다 높았다.
응답자들은 귀촌을 희망하는 이유로 건강한 생활 유지(24.6%), 여유로운 생활·휴식(22.9%), 자연 친화적 환경(20.7%), 주거비·생활비 절감(15.6%) 등을 꼽았다.
귀촌할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의료·교육·문화 등 생활 인프라 부족(27.8%), 도시 생활에 대한 익숙함(17.0%), 교통 및 접근성 불편(15.2%) 등이 지목됐다.
귀촌 희망 지역은 충청권이 32.9%로 가장 인기 있었다. 이어 강원권(27.4%), 호남권(15.9%), 영남권(10.4%) 등이었다.
선호 직무는 관리·사무직(30.7%), 서비스·판매직(20.7%), 농림·어업(15.9%), 생산·제조직(1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 형태는 시간제가 47.7%, 전일제가 9.6%였고 둘 다 가능하다는 응답은 42.7%였다.
희망하는 최소 월 임금 수준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32.6%),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30.7%), 2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26.8%) 등의 순이었고, 평균은 227만원이었다.
앞서 한경협은 지난달 23일 베이비부머-지역 중소도시-지역 중소기업 ‘3자 연합’ 모델을 제안한 바 있다. 국가적으로 베이비부머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 지원을 통해 베이비부머 노후 보장, 지역 인력난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한국 사회가 직면한 복합 문제를 해결하자는 구상이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9%는 이런 모델이 실현될 경우 귀촌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단순히 지역 중소기업 취업 기회가 있을 경우의 의향보다 높은 비율로, 3자 연합 모델이 귀촌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경협은 해석했다.
3자 연합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로는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시설 제공(2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지역 중소기업 및 안정된 일자리 제공(18.6%), 지역의료·복지 서비스 강화(12.0%) 등의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수도권 집중 현상과 내수 위축으로 지역경제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은퇴를 앞둔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고향을 중심으로 한 귀촌과 지역 내 재취업을 유도한다면 수도권 집중 완화는 물론 지역경제와 내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기관 전반에 AI 적용하려면 필요한 '이것'[글로벌인재포럼 2025]](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01.42288993.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