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서 민진당, 국민당 간 정치 갈등이 격화하면서 '중국의 대만 침공론'이 유포되는 등 사회 혼란이 심화되고 있다.
독립을 중시하는 민진당에서는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침공론을 들고 나오는 반면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조하는 국민당에서는 이 같은 위협이 과장됐다고 반박하는 양상이다.
신간 '중국이 쳐들어오면 어쩌지?'에서 군사 블로거인 저자 왕리는 과거 30여 년 동안 대만 사회에 퍼진 '중국 침공 루머'들을 집대성해 그 루머가 어떻게 공포심을 조장하고 대만인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지 분석한다.
저자는 중국의 인민해방군이 실제로 언제든 대만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불안이 반복적으로 확산되는 이유를 '인지전 효과'로 본다. 중국은 군사력을 투사하기에 앞서 여론전·정보전·심리전의 조합으로 대만인들에게 패배주의를 퍼뜨리고,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친중 여론이나 허위 정보를 유포함으로써 내부 분열을 유도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선보양 타이베이대 부교수와 함께 대만 사회에 유포된 중국 관련 주장들을 차례차례 논파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탄도미사일 3000기를 동원해 대만의 방공망을 무력화할 수 있다는 '탄도미사일 무적론'이다.
책은 중국이 보유한 미사일 중 비용 대비 효용이 낮은 대륙간·장거리탄도미사일을 제외하면 실제 대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050기에서 1300기 정도에 그치며, 미사일의 오차와 대만의 강력한 미사일 다층 방어망 체계를 감안하면 중국이 미사일로 대만 군사시설을 파괴해 마비시키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해상 봉쇄론'에 대해서도 저자는 과장된 위협으로 본다. 대만을 해상으로 봉쇄하려면 넓은 해역에서 통행하는 수많은 선박을 완벽히 감시해야 하는데 실제로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이 공수부대를 수송기로 대만 도시 한복판에 투입해 중요 인물을 암살하는 시나리오는 성공 확률이 낮다고 평가한다.
저자는 '중국이 곧 쳐들어올 것'이라는 공포 자체가 이미 중국의 전략적 목표라고 강조한다.
이 책은 2022년 발간된 대만 책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저자는 "책이 출간되고 얼마 안 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책 속 내용이 실제로 검증됐다"며 "한국도 대만처럼 공산 세력의 위협에 직면해 있고 징병제를 시행하는 만큼 독자들에게 참고가 될 것"이라고 한국어판 서문을 통해 밝혔다.
[김대은 기자]


![가을 설악, 선계(仙界)에 드니 찾아오는 경외감 [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7/132716428.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