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던진 질문 …"그대는 잘 살고 있나"

3 weeks ago 4

문화

죽음이 던진 질문 …"그대는 잘 살고 있나"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자는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마다 부검실을 방문하며, 1999년 이후 3000구의 시체를 부검한 경험을 통해 "죽은 몸은 정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신간 '시체는 거짓말하지 않는다'에는 저자가 죽은 자의 몸을 통해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고,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한 31세 남성의 사례를 통해 건강의 중요성을 경고한다.

그는 "부디 우리가 부검대에서 만나지 않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하며, 알코올과 흡연 등 우리의 건강을 해치는 요소들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시체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유성호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2만원

시체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유성호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2만원

매주 이틀, 월요일과 금요일마다 저자는 부검실로 향했다. 숨이 멎은 심장, 검게 변한 폐가 그의 눈앞에 펼쳐졌다. 한 사람의 몸은 '인생 전체가 응축된' 결과물이었다. 1999년 이후 3000구의 시체를 부검한 저자는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죽은 몸은 정직하다." 시신 앞에서 그는 또 묻고 싶었다. "이 사람을 생전에 만났다면…." 신간 '시체는 거짓말하지 않는다'는 법의학자의 고백록이다. 죽은 자의 몸은 역설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질문한다고 그는 쓴다.

자취방에서 사망한 남성의 나이는 31세였다. 너무 젊은 죽음이었다. 320g 정도여야 할 심장은 500g이 넘었다. 사인은 급성심근경색증. 하루에 담배 3갑을 피웠다는 그는 그렇게 애석한 죽음으로 부검대 위에 섰다. 한 남성은 알코올사용장애 진단을 받고도 술을 마셨다. 음주를 멈추지 않아 저자와 만나게 됐다. 암, 술, 담배 등 우리를 '서서히' 죽이는 것들에 대해서도 경고한다. 저자의 한마디는 울림이 크다. "부디 우리가 부검대에서 만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김유태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