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억제 및 부동산 안정화에 방점을 둔 ‘6.27 대책’ 시행 후 은행들이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는 한편,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은 앞다퉈 늘리고 있다. 신성장 기업과 소상공인 등 금융 소외 계층 지원에 중점을 둔 정부 기조에 발맞춘 행보로 풀이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은행들은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신청을 막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 제한을 전국 단위로 확대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다음 달 중 실행 예정인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규 신청을 지난 5일부터 받지 않고 있다. NH농협은행의 경우 9월 실행분까지 주담대·전세대출 한도가 소진됐고 오는 10월 실행분은 한도를 검토 중이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4일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와 전세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6일 이미 수도권 주담대 8∼9월 실행분 신청을 마감했으며, 현재 10월 실행분 신청을 받고 있다.
반면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폭은 올해 들어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 평균은 65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6% 증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무래도 정부의 가계부채 절감 정책에 힘이 실리고 있다 보니 은행권은 이러한 기조에 따를 수밖에 없어, 주담대에 대한 의존도를 이전보다 줄이고 수익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특히 기업대출에서도 대기업보단 소호대출 등에 지원 규모를 더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인터넷전문은행(인뱅)에도 비상이 걸렸다. 인뱅은 오프라인 지점이 없고, 중저신용자 비중 30% 조건이 걸려 있어 연체율 리스크가 높은 데다 설립 목적상 대기업 대상 대출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접근이 쉬운 개인 고객 중심의 가계대출에 집중해왔다. 지난해 기준 인뱅의 전체 대출 채권 중 가계대출 비중은 90%에 육박한다.
이에 최근 인뱅들은 특장점인 개인사업자 공략에 공을 들였다. 이번 대출규제 전부터 개인사업자 특화 전략을 틈틈이 구축해왔다.
인뱅 3사의 유형별 대출채권을 살펴본 결과, 올 1분기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 평균 잔액은 1조673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8.84% 증가했다.
인뱅 관계자는 “개인사업자 대출은 이번 정부 정책 수립 전부터 이미 인뱅들이 주요 수익원으로 삼고 고도화해 온 영역”이라며 “이번 부동산 정책으로 가계대출 비중이 줄어들 수밖에 없겠지만, 정부의 상생금융 기조와 인뱅의 중저신용 특화 수익모델 역량이 맞물려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