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의 정계 복귀 시점과 향후 행보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 전 대표의 사면안은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를 통과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 재가 등 절차가 남아 있어 최종 확정은 아니다. 그러나 통상 대통령실과 법무부의 조율을 거친 인물이 사면심사 대상에 오르는 만큼, 사면과 복권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번 사면이 복권까지 포함할 경우 조 전 대표는 피선거권을 회복하게 돼 정치 활동에 복귀할 수 있다. 조 전 대표의 복권은 진보진영의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현재 조국혁신당은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이 확정된 이후 조 전 대표의 대표직은 공석으로 남아 있다. 당내에서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지속돼 왔고, 조 전 대표가 사면되면 당 대표직 복귀가 유력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전당대회 시점은 이르면 내달, 늦으면 10월 국정감사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 조 전 대표가 대표직에 복귀하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조 전 대표가 서울시장이나 부산시장 선거에 직접 출마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조 전 대표는 지난 총선에서 조국혁신당을 이끌며 비례대표 12석을 확보, 원내 3당 진입에 성공했고, 특히 호남과 부산에서 민주당보다 높은 지지를 얻었다.
민주당은 조 전 대표의 복귀가 호남 등 핵심 지지층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조국혁신당이 지역 기반을 확대할 경우, 민주당의 선거 전략에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조 전 대표가 사면되더라도 당분간 공개 행보는 자제할 것이란 전망도 많다. 정치권과 국민 여론의 반발을 의식해 '로키'(low key) 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조 전 대표는 최근 출간한 저서 '조국의 공부'를 통해 북콘서트 형식으로 당원과 만날 가능성은 있으나, 본격적인 정치 활동은 미룰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