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대중(對中) 상호관세를 면제하기로 한 가운데 기술주들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에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오른 4만524.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2.61포인트(0.79%) 오른 5405.97,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3포인트(0.64%) 상승한 1만6831.48에 각각 장을 마쳤다.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에 증시는 환호했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주말 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여기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하는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의 항목들이 담겼다.
애플 등 빅테크(거대 기술기업)가 대중 상호관세를 피해 갈 것이란 기대가 생기면서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부동산은 2% 이상 올랐고 유틸리티와 소재, 산업, 의료건강, 금융, 필수소비재는 1%대 상승했다.
기술업종은 강보합에 그쳤지만 애플은 2.21% 오르며 기대감을 반영했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다시 3조달러를 돌파했다. 반면 메타는 2% 이상 밀렸고 아마존도 1%대 하락률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자동차주가 강세를 보였다. 제너럴모터스는 3.46% 올랐고 포드는 4.07% 상승했다.
중국 인터넷 업체들의 주가도 강세였다. CSI중국인터넷ETF는 이날 4% 넘게 오르며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주요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면제하기로 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팔란티어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이 회사의 시스템으로 인공지능(AI) 전술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소식에 4% 이상 올랐다.
크리스토퍼 월러 미 중앙은행(Fed)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분명히 예상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돼 있다면 인플레이션은 내년에 보다 완만한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둔화가 상당하고 경기 침체마저 위협한다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고 더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기대설문(SCE) 조사에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6%로 나타났다. 전월 3.1%에서 0.5%포인트나 뛰었다. 2023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Fed가 6월 말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전날 마감 무렵 24.3%로 올라갔다. 반면 0.5%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13.7%에서 11.4%로 소폭 하향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6.67포인트(17.76%) 내린 30.89를 기록했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