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4일 재판관 전원 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하자 대통령실이 침묵에 휩싸였다.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 전까지만 해도 대통령실 일각에서는 기각 내지 각하 결정을 기대하는 기류도 읽혔다. 탄핵 인용 결정에는 무게를 두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이날 사무실에서 TV로 생중계되는 헌재 선고를 지켜봤다. 윤 전 대통령도 한남동 관저에서 파면 선고 과정을 지켜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전 11시 22분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주문을 읽자, 대통령실 곳곳에서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일부 참모들은 전날까지도 ‘5대 3 기각’이나 ‘4대 4’ 기각 또는 각하까지 가능하다고 전망했으나, 헌재가 ‘8대 0’으로 탄핵을 인용하면서 대통령실의 충격은 배가됐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당연히 각하나 기각을 기대한다”고 했으나, 이날 정반대의 결론이 나오자 “할 말이 없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또 내부적으로 윤 전 대통령의 복귀에 대비해 현안 업무보고와 국무회의 소집,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개최 등의 시나리오를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아직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참모들 역시 대부분 언론의 취재 전화에 답하지 않고 침묵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승복 선언’을 포함해 탄핵 심판 결과에 대해 메시지를 낼지도 미지수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이 인용된 만큼 곧 한남동 관저를 떠나야 한다. 서초동 사저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변 정리와 사저 정비 등을 위해 며칠간 관저에 머물 가능성은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탄핵이 인용된 지 이틀 만에 청와대 관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