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불안해"…단독·다가구 임대차 10건 중 8건 '월세'

1 day ago 1

서울의 한 대학가 인근 게시판에 원룸 세입자를 구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한경DB

서울의 한 대학가 인근 게시판에 원룸 세입자를 구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한경DB

올해 단독·다가구 주택의 전세 거래 비중이 급감했다. 전세 사기 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올해 1분기 전국의 단독·다가구 주택 임대차 거래 12만6053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세 거래는 2만4417건으로 전체의 19%에 그쳤다. 10가구 중 8가구는 월세라는 얘기다. 2021년 1분기는 전세 거래가 5만7714건으로 전체의 46%를 차지했으나 4년만에 이 비중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최근 전세사기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권리관계 확인이 어려운 단독·다가구 주택의 구조적 한계가 영향을 미친 결과다. 아파트나 연립·다세대처럼 가구별로 구분 등기가 돼 있으면 보증금의 안정성을 판단하기가 쉽다. 하지만 단독·다가구 주택은 전체 건물 기준으로 선순위 권리를 확인해야 해 안정성을 가늠하기가 어렵다.

등기사항증명서만으로는 각 가구의 임대자 내역을 확인할 수 없어 임대인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게 집토스의 설명이다. 구분등기가 된 아파트나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세 거래 비중은 2021년 1분기 65%에서 올 1분기 53%로 12%포인트 감소하는데 그친 점도 이런 해석을 뒷받침한다.

한편 이런 월세 선호 속에 올 1분기 단독·다가구 주택의 평균 보증금은 3783만원으로 2021년 1분기(5735만원)보다 34% 줄고, 월세는 37만원으로 4년 전(23만원)보다 61% 올랐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