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의 월세화’ 현상으로 신용대출 잔액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9·7 부동산 대책에서 전세대출 규제 기조가 더 강화된 만큼 신용대출 수요가 더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8일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이달 들어 2697억원(5일 기준) 증가했다.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6월 ‘막차 대출’ 효과로 1조876억원 급증한 뒤 7월 4334억원 순감했다. 하지만 지난달 1103억원 순증으로 전환한 데 이어 이달 들어 오름세가 더 가팔라졌다. 전세대출 잔액은 지난달 3705억원 늘었지만, 이달 들어 463억원 감소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이 전세대출 문턱을 높인 여파로 신용대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전세자금 마련이 어려워진 세입자들이 월세나 반전세로 방향을 틀면서 신용대출 수요를 더 자극하고 있다는 얘기다. 신한은행은 연말까지 대출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접수를 중단했다. 기업은행도 대출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접수를 잠정 중단했다. 하나은행도 다음달 신규 접수를 마감했다.
문제는 9·7 대책으로 신용대출 쏠림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세대출 규제를 강화한 이번 대책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서다. 이번 대책에서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는 2억원으로 일괄 축소됐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시장 추이에 따라 전세대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보증 비율 인하 등을 검토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대출보다 부실 위험이 커 은행도 리스크 관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