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남에 李정부 첫 기회발전특구…1.7조 투자 기대

13 hours ago 1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1조 7000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제출한 전북과 경남 2개 지역을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2025년 7월 기준 전국 기회발전특구 지정 현황. (표=산업통상자원부)

전북도는 라이프케어 기업들의 투자 계획을 담은 계획서로 남원시 약 51만㎡ 일대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받았다. 경남도도 나노융합산업과 이차전지 소재, 모빌리티 부품 기업의 투자계획과 함께 밀양시·하동군·창녕군 약 222만㎡를 기회발전특구로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올해 처음이자 새 정부 첫 기회발전특구 지정이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약 40여 기업, 1조 7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정부 주도로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지난해 마련된 제도다. 비수도권 지자체가 기업 투자계획을 전제한 지역 개발계획을 내면, 중앙정부(산업부)가 타당성을 검토해 이를 승인한 후 세제 및 규제 완화 혜택을 준다. 산업부는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비수도권 14개 시·도의 기회발전특구를 지정했다.

산업부는 이번 심의 과정에서 울산시 남구 기회발전특구 내 지정면적을 약 2만㎡에서 3만6000㎡로 두 배가량 확대했다. SK-아마존웹서비스(AWS)가 지난달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립 계약을 맺으며 관련 투자가 늘어난 데 따른 조정이다.

또 경남도는 이번 신규 지정으로 14개 시·도 중 처음으로 시 150만평(약 500만㎡), 도 200만평(661만㎡)의 면적상한을 전부 사용했다. 다만, 올 6월 비수도권 외국인투자에 대해선 면적 상한이 사라진 만큼 경남도 역시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지정 면적을 더 늘릴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회발전특구에 예정된 투자가 제때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기업과 긴밀히 소통하겠다”며 “또 앞으로 있을 기업의 신규 지방투자에 대해서도 신속히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