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접어요” 한 해 100만명 처음 넘었다…음식점 폐업률이 무려

4 days ago 9

경제

“장사 접어요” 한 해 100만명 처음 넘었다…음식점 폐업률이 무려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4년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100만명을 처음으로 넘어서며, 소매업과 음식업이 그 비중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률은 9.04%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폐업 사유 중 사업 부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 밀접 업종에서의 폐업이 두드러지며, 자영업자들의 대출 연체율이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매경DB]

[매경DB]

1년 동안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소매업·음식업종 비중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개인·법인)는 100만8282명에 달했다. 이는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한 해 기준 최대치이며, 100만명이 넘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2023년(98만6487명)에 비해선 2만1795명이 증가했다.

폐업률도 2년째 상승세다. 지난해 폐업률은 9.04%를 기록했는데, 사업을 하는 사람 중 약 9%가 그 해 폐업했단 의미다.

폐업 사유별로는 ‘사업 부진이’ 절반에 달하는 50만6198명으로, 역대 처음 50만명을 넘어섰다. 사업 부진을 이유로 문 닫은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50.2%) 이후 처음이다. ‘기타’ 사유는 44만9240명으로 뒤를 이었고, 양도·양수(4만123명), 법인 전환(4471명), 행정처분(3998명), 해산·합병(2829명), 계절 사업(1089명) 순이었다.

폐업자는 특히 내수 밀접 업종에 집중됐다. 소매업 폐업자가 29만9642명(29.7%)으로 가장 많았고, 음식점업(15.2%)이 뒤를 이었다. 두 업종 비중만 전체의 45%를 차지했으며 부동산업(11.1%)의 비중도 높았다.

소매업 폐업률은 16.78%로 2013년(17.7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음식점업 폐업률은 15.82%에 달했다. 온라인 소비 확대, 무인화 트렌드, 고금리로 인한 소비 감소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내수 침체 기간이 길어지면서 자영업자들의 대출 연체도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취약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2.24%로, 2013년 2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저신용인 차주들이 특히 취약한 상황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