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국민의힘이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가 급등한 데 대해 “이재명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며 기업 탓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
추석연휴를 앞둔 2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5일 논평을 통해 “국민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호소하는데, 정부는 현실 진단보다 남 탓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빵은 6.5%, 커피 15.6%, 축산물 5.4%, 수산물 6.4% 등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했다”며 “통계청 자료를 보면 쌀 20㎏ 가격이 6만8435원으로 전년 대비 29.2% 상승했고, 4년 만에 80㎏ 한 가마 값이 27만 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서울 시내 음식점의 공깃밥 가격이 2000원을 훌쩍 넘고, 3000원을 받는 곳도 있다”며 “국민이 밥 한 공기 추가도 부담스러워진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는 물가 상승을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리며, 조선시대 매점매석을 사형에 처했다는 말을 꺼내 기업을 겁박한다”며 “시장경제를 처벌로 통제하려는 발상은 ‘사형경제학’”이라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지금의 물가 폭등은 민생쿠폰 등으로 돈을 뿌린 포퓰리즘 정책의 결과”라며 “전문가들조차 ‘물가만 오르고 끝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도, 정부는 책임을 외부로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최근 발언도 도마에 올랐다. 최 대변인은 “대통령이 ‘바나나 수출 가격이 왜 나라마다 다르냐’고 말한 것은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를 모르는 것”이라며 “시장 가격은 환율, 물류비, 수요와 공급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 이런 기초 상식조차 부정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이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국민이 바라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남 탓과 포퓰리즘식 돈 뿌리기를 멈추고, 서민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