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통행 미로' 목동 … 교통량 해결 과제로

3 weeks ago 1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동 지역은 복잡한 도로 체계와 한정된 지하철 접근성으로 인해 택시기사들이 기피하는 곳이며, 향후 재건축으로 인한 인구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목동선 경전철 설치 계획을 세웠으나, 예비타당성조사에 통과하지 못해 사업성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재건축 진행이 복잡한 절차와 규제로 인해 장기적인 시간 소요가 예상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목동 재건축 투자 유의점
서울시, 1개 차로씩 확장 계획
경전철 목동선 착공도 관심사
토허제지역이라 갭투자 안돼

목동은 지금도 택시기사들이 별로 들어가고 싶어하지 않는 곳 중 하나다. 4~6차로 일방통행 도로가 곳곳에 깔려 있어 집을 찾아가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다. 목동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광역차도 일방통행'은 처음 이곳을 둘러본 외지인을 당황스럽게 만든다.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2022년 통과시킨 '지구단위계획안'에는 목동 도로 체계에 일방통행 방식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 있다. 다만 재건축 이후 교통량 증가를 감안해 주요 도로 폭을 넓힌다는 계획은 포함됐다. 현재 4차로인 목동아파트 일방통행 도로를 5차로로 만들고 주변 도로인 목동중앙로, 중앙로32길, 목동로8길 등도 1개 차로씩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목동신시가지 1~14단지 아파트가 재건축되면 가구 수가 현재의 2배가량인 5만3000여 가구까지 늘어난다. 일각에서 이 정도 도로 용량으로 늘어난 인구를 수용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목동 아파트의 또 다른 단점은 지하철 접근성이다. 일대를 지나는 지하철 역이 5개라지만 양천구청역과 신정네거리역은 2호선 지선역이라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9호선 신목동역도 북쪽에 쏠려 있어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는 단지는 사실상 1단지밖에 없다.

서울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전철 목동선을 들고나왔다. 2019년 '서울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발표하면서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는 청사진까지 공개했다. 신월동~당산역 10.87㎞ 구간에 12개 정거장이 설치되는데 화곡로입구교차로, 신트리공원, 오목교역, 한가람고교, 당산역 등을 경유하는 방안이었다.

문제는 목동선이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목동 지역 재건축 이후 전망이 반영되지 않았고, 'ㄴ'자로 꺾인 노선이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진다. 서울시는 사업성을 높일 방안을 마련해 이른 시일 안에 목동선을 다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상 노선의 대대적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난항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전문가들은 또 목동 재건축과 개발 계획이 초창기 단계로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는 의견이다. 특히 재건축은 정비구역으로 지정돼도 조합 구성, 사업시행·관리처분 등 각종 인허가와 분양 과정 등을 거쳐야 한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정비구역 지정부터 새 아파트 입주까지 '걸림돌' 하나 없이 순탄하게 진행된다고 가정했을 때 10~15년은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각종 규제도 걸림돌이다. 우선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모두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돼 '갭투자'(전세를 끼고 사는 매매)가 불가능하다. 혹시나 양천구가 투기과열지구로 다시 지정되면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조항이 살아날 수 있고,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등 규제도 겹겹이 쌓여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간 실거주하면서 투자 가치도 노린다는 목적이 아니라면 섣불리 매수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손동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