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인 이언주 의원이 최근 미국 조지아주 공장 구금사태의 후속 조치로 대미 투자를 전면 중단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10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전히 미국의 수많은 공장 건설 현장에는 수천 명의 한국인 종사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며 "이들의 안전이 보장되기 전까지는 저는 대미 투자도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국인 안전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 공장 건설을 이어가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정부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도 주문했다. 그는 "E-4 비자 신설 등 해법부터 분명하게 마련할 것을 우리 정부에게 요청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각에선 이번 사태가 한미 간 진행 중인 관세 협상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의원은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를 존중하는 입장"이라면서도 "주권국가로서 대한민국 그리고 우리 국민의 안전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만약 미국 측이 한국 국민의 안전을 압박 수단으로 활용했다면, 우리 정부 역시 대미 투자를 협상의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한국 기업들 사이에서는 미국에 가성비 낮은 공장을 짓느니 차라리 관세를 내면서 수출하는 게 낫다라는 하소연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라며 우리나라 기업이 겪는 부당함에 주목했다. 그는 "연방 법원의 판결에 따라서 관세 협상이 폐기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상호 신뢰를 토대로 안정적인 경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다.
당 지도부는 당 차원에서 논의된 공식 입장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의 발언 관련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