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을 일주일에 단 하루나 이틀만 열심히 해도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충분하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휴일이나 주말에 운동을 몰아서 해도 비활동적인 사람들보다 심혈관 질환과 암을 포함해 모든 원인에 의한 조기 사망 위험이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협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2일(현지시각) 게재됐다.
책임 저자인 중국 광저우 남방의과대학의 전염병학자 리 즈하오 박사는 "건강 유지를 위해 매일 운동할 필요가 없다.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중간 강도에서 격렬한 신체 활동을 한다면 일주일 동안 고르게 나눠서 하든, 하루나 이틀에 몰아서 하든 심혈관 질환, 암, 기타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손목에 핏비트(Fitbit) 형태의 활동량 추적기(가속도계)를 착용하고 일주일간 생활한 37~73세 성인 9만3000명(평균 나이 62세)의 데이터를 영국 바이오 뱅크에서 추출해 분석했다. 가속도계 데이터를 토대로 참가자들을 △주말 운동전사 그룹(42%) △규칙적 운동 그룹(24%) △비활동 그룹(34%)으로 분류했다.
8년간의 추적 조사에서 약 4000명이 사망했다. 이중 약 17%는 심혈관 질환, 약 45%는 암으로 숨졌다.
분석 결과 주말 운동전사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조기 사망 위험이 32% 낮았다. 심혈관 질환에 따른 사망 위험은 24% 낮았다.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13% 낮았다.
규칙적 활동 그룹은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26%,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24%,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13% 낮았다.
주말 운동전사 그룹과 규칙적 운동 그룹 간 사망 위험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작년에도 비슷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다. 하지만 운동 패턴을 신체 활동 측정기기를 통해 분석하고, 그것이 심혈관 질환과 암 등으로 인한 사망 위험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조사한 것은 이 연구가 최초다.
조깅이나 자전거 타기와 같은 제대로 된 운동이 아닌 집 안 청소, 정원 가꾸기, 주말농장과 같은 일상적인 신체 활동도 도움이 됐다.
"많은 사람이 주중에 매일 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이 연구는 주말에만 운동하더라도 의미 있는 건강상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미국 심장협회 간부인 키스 다아즈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연구 성명에서 말했다. 그는 이 연구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디아즈 박사는 "다만 하루나 이틀에 150분의 운동을 하려면 몸에 많은 부담이 될 수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주말 운동전사는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에 비해 근골격계 부상 위험이 약간 더 높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