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LP를 1세기 전 빈티지 오디오로 듣는 오디움

6 days ago 6

서울 서초동 끝자락, 2만 개의 알루미늄 파이프가 수직으로 감싼 특이한 외관의 건물이 눈에 띈다. 연면적 22만 4246㎡, 지상 5층·지하 2층 규모의 이 건물의 정체는 음악을 듣는 공간, 오디움(Audeum)이다. 세계적 건축가 쿠마 켄고가 디자인해 화제를 모았고 지난해 6월 문을 열었다. 1877년 유성 축음기 발명 이후 150년간의 오디오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자료를 모았다. 오디움 내부에는 19세기 에디슨이 발명한 축음기와 음악 재생 기계를 비롯해 웨스턴 일렉트릭 라우드 스피커 등 세계적인 오디오 시스템이 들어서 있다. 100년 전 제작된 빈티지 오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성악 아리아와 유명한 재즈 넘버들은 마치 공연장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음악 감상실처럼 꾸며놓은 지하 2층 전시실에는 진귀한 LP와 CD가 11만장 가까이 진열돼 있고. 세계적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즐겨 듣는 뮤지션 ‘비틀스’의 LP 코너도 마련해뒀다.

오디움 개관 후 열린 상설전 '정음(正音) 소리의 여정' 전시장 전경. / 사진제공. 오디움

오디움 개관 후 열린 상설전 '정음(正音) 소리의 여정' 전시장 전경. / 사진제공. 오디움

개관 후 오디움의 상설전인 ‘정음: 소리의 여정’에 다녀간 관객수는 1만 3600명(3월 18일 기준)에 이른다. 음악 감상을 목적으로 처음 운영한 프로그램 ‘미러포닉으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반(이하 미러포닉)’은 지난해 10월부터 한달에 두 번 꼴로 열렸고 지난 19일 ‘(바이올리니스트) 지네트 느뵈의 음악 세계’로 막을 내렸다. 오디오 전문 박물관에서 희소한 LP로 녹음된 명연주를 듣는 것은 확실히 특별했다. 게다가 이를 유서깊은 오디오로 듣는 감상한다는 것도 압도적인 경험이다. 미러포닉은 오디움 라운지에 흐르는 선율, 작품안에 숨겨진 이야기, 음악 구조의 논리 등 다양한 배경 지식도 함께 채우는 시간이기도 하다. 오디움은 공간과 음악을 함께 내세우며 ‘소리의 체험’을 예술의 새로운 장르로 보여주고 있었다.

오디움 지하 2층 전시실에는 비틀스의 LP를 들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 사진제공. 오디움

오디움 지하 2층 전시실에는 비틀스의 LP를 들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 사진제공. 오디움

건축가 쿠마 켄고와 오디움의 비주얼 정체성을 담당한 디자이너 하라 켄야는 “인간의 내재된 감각들을 활용할 수 있을 때 더 좋은 전시관이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오디움의 개념을 함께 만들어나갔다. 그들은 현대인의 피로함을 가장 잘 치유해줄 수 있는 감각으로 청각을 꼽았다. 완벽한 소리의 체험을 위한 쿠마 켄고의 생각은 오디움에 삽을 뜨기 전부터 확고했다고. ‘훌륭한 소리를 감상하는 공간이기에 인간이 도심을 떠나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입하도록 해야한다는 것’이었다.

그의 생각처럼 오디움의 입구는 건축물을 한참 감상한 뒤 들어올 수 있도록 고안됐다. 계단, 외벽 어느 하나 쉽사리 지나치기 힘든 요소들이 깃들어있다. 심지어 입구도 지하 2층에 있어 전형적이지 않다. 한참을 걷다 비로소 안쪽에 당도하다 보면 관람객은 도심의 소음에서 벗어나 자연스레 ‘들을 준비’를 마치게 된다.

오디움. / 사진. ⓒYongbaek Lee

오디움. / 사진. ⓒYongbaek Lee

이해원 기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