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카 기다려, 기다려, 기다려."
1957년 11월 3일 소련이 스푸트니크 2호에 실려 보낸 우주선 안에는 고된 훈련을 거쳐 선발된 개 라이카가 탑승해 있었다. 미국을 제치고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성공했던 소련이 약 한 달 만에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택한 방법은 바로 '생명체를 우주로 보내는 일'이었다.
연이은 '최초'의 기록 탄생에 한껏 격앙된 사람들. 3, 2, 1. 그렇게 라이카는 지구 밖 세상으로 보내졌다.
국내 창작 뮤지컬 '라이카'는 인류 최초의 우주 탐사견인 라이카의 실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만들어진 작품이다. 뮤지컬계 흥행 보증 수표로 불리는 이른바 '한이박(한정석 극작가, 이선영 작곡가, 박소영 연출가) 트리오'가 뭉쳐 개막 전부터 기대를 모았다.
우주선 안에서 라이카는 '기다려'라는 인간의 명령을 되뇌었다. 거센 열기가 온몸을 덮치고 진동이 심해지며 맥박 수가 요동쳤지만, 훈련받은 대로 감내했다.
이내 정신을 잃고 깨어난 라이카가 당도한 곳은 행성 B612.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왕자'에 나오는 행성이다. 그곳에서 라이카는 두 발로 걷고, 복잡한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생각한 걸 말로 내뱉을 수도 있었다. 라이카는 그런 자신을 스스로 '인간처럼' 됐다고 말했지만, 행성에서 만난 어린왕자와 장미, 바오밥나무는 '인간'이 아닌 '존재'라는 표현을 썼다. 그렇게 라이카는 B612에서 새로운 하나의 '존재'로 거듭났다.
라이카는 인간을 좋아했고, 어린왕자는 인간을 증오했다.
라이카는 유일하게 자신과 눈을 맞추며 말을 걸어왔던 우주 탐사견 보조 관리인 캐롤라인을 그리워했다. '모두가 너에게 명령하니까 난 질문을 하겠다'던 그녀의 따뜻한 눈빛을 다시 보고 싶었다. 이제는 말도 할 수 있게 됐으니 '우리 도망갈까?'라던 캐롤라인의 말에 대답도 해줄 수 있다는 기대에 차 있었다.
어린왕자는 과거 생텍쥐페리를 보러 지구로 갔다가 독일 공군 리페르트가 생텍쥐페리가 탄 비행기를 격추하는 장면을 보게 됐다. 사람을 경계하기 시작한 그는 지독하게 이어지는 전쟁, 그 안에서 커지는 인간의 욕망과 이기심을 증오했고, 인간에게 버려질 운명인 라이카를 기다렸다.
라이카가 타고 온 우주선에는 귀환 장치가 없었다. 이러한 사실을 숨겨오던 어린왕자는 마침내 라이카에게 진실을 밝혔고 '지구 종말' 목표를 함께 이루자고 제안했다. 라이카는 인간의 명령대로 기다렸기에 선택받고 신뢰를 얻었지만, 반대로 기다렸기에 우주에 버려진 자신의 처지에 혼란을 느꼈다. 분노에 휩싸이면서 어린왕자와 뜻을 같이하기로 했다. 하지만 무수히 희생될 또 다른 생명들에 대한 죄책감으로 이내 마음을 접었다.
'라이카'는 비인간의 존재들에게서 인간다움을 발견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라이카에 대한 걱정으로 잔인한 현실을 당장은 알리지 말자며 어린왕자를 설득하는 장미, 인간에게 버림받았음에도 인간과 쌓은 정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하는 라이카, 그런 라이카의 마음을 결국 이해하는 어린왕자까지. 말미에 이르러서는 시종일관 딱딱한 말투로 라이카에게 직언을 날렸던 로봇 로케보트에게서도 따스함이 느껴진다. 그렇게 행성 B612에서는 모두가 성장했다.
정작 인간은 제자리였다. 라이카 이후로도 30여마리의 동물들이 우주로 보내졌다. 인간은 희생한 동물들을 '영웅'이라고 불렀지만, 이 역시 지극히 인간의 입장에서만 해석된 말이었다. 지구 종말 복수를 포기하며 인간이 미처 품지 않은 영역의 생명까지도 끌어안은 라이카의 선택에 일순간 객석은 숙연해진다. 과연 진정한 인간다움이란 무엇일까. 자리를 툭툭 털고 일어날 수 없는, 묵직한 생각을 안기는 '라이카'다.
현실과 허구를 버무린 스토리는 상상력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했다. 라이카는 당초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해 준비된 장치에 따라 안락사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약 반세기가 지난 뒤 우주선 발사 당시의 과열과 스트레스로 죽었다는 진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실에서 뻗어나간 가지에 '어린왕자' 스토리를 더해 상상력을 무한하게 펼쳐냈다.
'어린왕자' 속 바오밥나무, 양이 들어있는 상자, 장미까지 모두 등장하지만, 기존의 설정을 약간씩 비틀었다. 어린왕자가 생텍쥐페리와 실제로 만났었다거나, 20대 후반의 나이로 성장했다는 점, 장미가 어린왕자와 불화를 겪은 뒤 한층 성숙한 내면을 갖게 됐다는 점 등 서사의 범주를 확장해 친근함과 신선함, 이성과 감성을 사정없이 자극했다.
연출적으로는 무대를 간소화해서 상상력을 자극하는 방식이 아닌, 무대를 꽉 채워 상상력을 충족시키는 방식이 쓰였다. 둥그런 원형 세트에 무대 안쪽 깊숙한 공간까지 영상을 붙여 지구를 떠나 실제 우주 공간에 발을 들인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무대 좌우에는 행성 모형까지 꼼꼼하게 표현됐다. 8명의 배우들이 모여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표현하는 장면도 압권이다.
다만 어린왕자가 인간을 극심하게 증오하게 된 계기, 지구 종말 계획에 라이카를 끌어들이려 한 이유, 오랜 시간 공들여온 계획을 일순간 포기하는 심적 변화 등 전개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 극의 흐름을 따라가며 주제에 몰입하던 이들이라면 뚝 끊기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도 여운은 진하게 남는다. 캐롤라인이 읽어주던 '어린왕자' 이야기를 떠올리며 행성 B612의 정체를 알아차린 라이카, 라이카가 우주의 행성 어딘가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 놀고 있는 꿈을 꾼 캐롤라인, 지구로 돌아와 과거 캐롤라인이 건넸던 '우리 도망갈까?'라는 말에 답하는 라이카. 커다란 우주 안에서 이어진 이 모든 연결성에 마음이 찡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라이카'는 오는 5월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연지동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계속 공연된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