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국내 건설업 생산이 20% 넘게 급감해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8년 3분기 이후 최대폭 감소를 기록했다. 건설업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초유의 건설경기 불황이 더욱 길어질 우려가 커졌다.
5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건설업 생산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작년 같은 분기보다 20.7% 급감했다. 이는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건설경기 부진은 더욱 악화하는 모양새다. 건설기성은 작년 2분기(-3.1%)부터 줄기 시작해 3분기(-9.1%), 4분기(-9.7%)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4분기째 줄었다. 감소 폭도 점차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기였던 2020년 2분기(-3.5%)부터 2022년 1분기(-1.9%)까지 이후 가장 긴 기간 줄고 있다.
수주와 착공 부진 누적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하고, 12·3 비상계엄 이후 정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신규 분양이 축소된 탓으로 해석된다. 특히 지난달엔 과잉투자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량 사고 등 일시적 요인이 겹쳐 감소한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지난 1분기 건축 부문 실적이 작년 동기보다 22.8% 감소했다. 1998년 4분기(-30.3%) 이후 최대폭 감소다.
장기화하는 건설업 한파는 가계소득 위축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주가 전기·하수·건설업에 종사하는 가구의 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1.4% 느는 데 그쳤다. 전체 평균 소득 증가율(3.8%)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전기·하수·건설업 가구의 근로소득은 작년 4분기 2.4% 감소해 3분기(-3.2%)에 이어 2분기째 뒷걸음질 쳤다.
건설업 경기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기성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는 올해 1분기에 1년 전보다 7.7% 줄어들며, 작년 1분기(-10.4%) 이후 처음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사무실·점포 등 건축에서는 수주가 10.4% 늘었으나, 기계 설치 등 토목 부문에서 41.4% 감소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건설투자는 그간의 수주·착공 위축 영향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크게 부진할 전망"이라며 "다만 하반기 이후에는 선행지표 개선과 금융 여건 완화의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낮은 수준에서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