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분양 단지 성적률 ‘이것’이 갈랐다…미적용 청약경쟁률 6배

3 weeks ago 1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방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청약에 나선 72개 단지 중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22개 단지는 평균 경쟁률 26.2대 1을 기록하며, 미적용 단지의 평균 경쟁률 4.0대 1보다 약 6배 높은 격차를 보였다.

서울의 래미안원페를라와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은 각각 122.5대 1과 97.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충북 역시 청주테크노폴리스아테라2차에서 109.7대 1을 보여주었다.

분상제가 가격 경쟁력을 높여 청약 수요를 유도하지만, 지역 수요와 생활 인프라 등 다양한 요인이 청약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래미안 원페를라 투시도. [사진 출처 = 삼성물산]

래미안 원페를라 투시도. [사진 출처 = 삼성물산]

18일 직방이 올해 분양된 단지들의 1순위 청약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분양가상한제(분상제) 적용 여부에 따라 경쟁률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올해 청약에 나선 72개 단지 가운데 분상제가 적용된 22개 단지는 평균 경쟁률 26.2대 1을 기록한 반면, 미적용 된 50개 단지의 평균 경쟁률은 4.0대 1에 그쳐 약 6배의 격차를 보이면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충북, 울산, 경기, 세종, 부산에서 분상제 적용 단지들이 공급됐다.

서울은 래미안원페를라와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이 청약에 나서며 평균 1순위 경쟁률 122.5대 1을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방배6구역을 재건축한 래미안원페를라(151.6대 1)는 청약 당시 인근 시세 대비 30% 이상 낮은 분양가로 평가받았다.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은 강일 택지지구 내 마지막 민간분양단지로 평균 97.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충북은 109.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청주테크노폴리스 내 마지막 분양 단지인 청주테크노폴리스아테라2차가 공급되며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뒤이어 울산이 44.4대 1, 경기 23.7대 1, 세종 12대 1로 보였고 부산은 0.3대 1를 나타냈다.

분상제는 공공택지 등 일정 요건을 갖춘 지역에서 공급되는 주택의 분양가를 정부가 정한 산정 기준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다. 분상제가 적용되면 주변 시세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양가가 책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입주 후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일부 단지에서는 수억 원대 차익이 발생하며 소위 ‘로또 청약’이라는 표현이 붙기도 했다.

다만 분상제가 적용됐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단지가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장받는 것은 아니다. 부천, 양주 등에 소재한 일부 단지들의 경우 1대 1을 밑도는 저조한 성적을 보이기도 했다.

분상제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더라도 입지 조건과 지역 수요, 생활 인프라 등 복합적인 요인이 청약 결과를 좌우한다는 평가다. 실제 기자촌지구를 재개발한 전주더샵라비온드는 총 2226세대의 전북 최대 규모 단지로 1순위 평균 26.1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올해 분상제 미적용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공급이 적었던 전주 지역에서 매머드급 브랜드 단지가 경쟁력 있는 분양가로 공급되자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다.

오는 7월부터 입주자모집공고가 이뤄지는 단지부터는 ‘DSR 스트레스 3단계’가 적용되면서, 주요 건설사들이 이달 내 분양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특히 분상제 적용 가능성이 있는 ‘잠실 르엘’, ‘고양 장항 S1’ 등 수도권 핵심 단지들의 공급이 예고되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양 관계자는 “규제 영향과 가격 조건에 따라 청약 수요가 선별적으로 움직이는 흐름이 뚜렷해질 것”이라며 “입지·상품성·분양가가 균형을 이루는 단지에는 실수요자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짚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