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벌써 4천억 넘게 팔렸다”…세계가 열광하는 한국의 ‘검은 반도체’

4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산 김의 미국과 중국 수출이 호조를 보이며 1분기 김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2억8100만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이 5790만달러로 가장 많은 수출국이며, 중국은 86.5% 증가한 511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2027년 목표인 연간 김 수출액 10억달러 달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1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 김이 진열돼 있다. [사진 = 뉴스1]

21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 김이 진열돼 있다. [사진 = 뉴스1]

국산 김의 미국과 중국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1분기 김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정부가 2027년 목표로 세운 ‘연간 김 수출액 10억달러’를 올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100만달러(약 4020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1% 증가했다. 수출량 기준으로는 1만161t을 기록해 작년 동기 대비 7.5% 늘었다. 이는 10년 전인 2015년 1분기보다 무려 844.3% 증가한 것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의 1~3월 수산 관측을 보면 작년 동기와 비교한 월별 김 수출액 증가율은 1월 7.4%, 2월 52.7%, 3월 10.9% 등이다.

국가별로는 미국(5790만달러)이 가장 많고 중국(5110만달러), 일본(3440만달러), 태국(3420만달러)이 뒤를 이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수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중국(86.5%)이다. 미국은 21.6%, 태국은 15.9%, 일본은 7.2% 늘었다.

중국으로 수출된 김은 대부분 마른김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1분기 중국으로 수출된 마른김(2258t)은 작년 동기 대비 97.2% 증가했다.

조미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1분기 김 수출액은 30.6% 늘었다. 미국으로 수출된 조미김은 1367t으로 전체 수출량의 30.2% 수준이다. 마른김의 대미 수출량은 140t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선 한국 드라마·영화의 영향으로 김밥 붐이 일면서 마른김 수요가 급증했고, 미국에선 김 스낵이 꾸준한 인기를 끌면서 조미김 수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가 2027년 목표로 제시한 연간 김 수출액 10억달러를 올해 앞당겨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작년 김 수출액은 9억9700만달러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