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이치 주가조작→명태균→건진 순 조사 이어져
특검은 이날 김 여사를 ‘피의자’라고 부르며 조사했다고 한다. 문홍주 특검보는 조사가 진행 중이던 이날 오후 3시경 브리핑을 열고 “(김 여사에 대한) 호칭은 피의자로 호칭해 조사하고 있다”며 “출석 요구서에 넣었던 피의사실 위주로 조사하고 있다”도 밝혔다.
이날 조사는 2009 ~2012년 무렵 벌어졌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부터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전후에 벌어진 명태균 씨 등의 공천 개입 의혹,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한 각종 이권 및 현안 청탁 의혹 순으로 진행됐다. 특검에서는 한문혁 서울동부지검 형사5부장검사(사법연수원 36기) 등 앞서 검찰 단계에서부터 해당 의혹을 수사해온 베테랑 검사들이 직접 신문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점심 시간 1시간 가량을 제외하면 오전 10시 23분경 조사를 시작한 지 약 3시간 만에 미리 준비한 질문의 절반 가량을 소화하는 등 이날 조사는 속도감 있게 진행됐다. 특검은 방대한 혐의와 관련자들의 각종 진술을 고려해 핵심 요지만 담어 압축적으로 질문지를 짜뒀다고 한다.
첫 순서로 진행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조사에서 특검은 김 여사가 사전에 주가조작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는지, 이른바 ‘BP 패밀리’ 의혹에 대해 알고 있는지 등에 대해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BP’는 도이치 주가조작 사건에서 핵심 역할을 한 블랙펄인베스트의 약칭으로, 주가조작 핵심인물 김모 씨는 지난해 서울중앙지검 수사 당시 “권오수 전 도이치 회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김 여사가 패밀리로 묶여서 활동했다”고 진술했다.
김 여사는 “단순히 계좌를 빌려줬을 뿐 주가조작은 몰랐다” “주가조작을 공모한 바 없다”는 취지로 혐의를 부인했다고 한다. 앞서 김 여사는 지난해 7월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의 출장 조사 당시에도 “주가조작에 개입한 바 없다”고 진술했다.특검은 올 4월 서울고검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재수사를 결정한 뒤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한 육성파일 등 새로운 증거물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가 미래에셋증권 계좌를 담당하던 직원과 2009년부터 약 3년 동안 통화한 녹음파일 수백 개를 새로 확보했는데, 주요 내용을 제시한 것. 해당 녹취에는 김 여사가 ‘주가조작 일당에게 계좌를 맡기고 수익이 나면 그중 40%를 그 일당들에게 주기로 했다’ ‘그쪽에서 주가를 관리하고 있다’는 취지로 말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명태균 연루 공천개입 혐의 등도 전면 부인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대선기간 명 씨로부터 다수의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고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 공천에 개입했다고 보고 있다. 2022년 6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의원은 지난달 27일 조사에서 “(공천 확정 하루 전날이었던) 2022년 5월 9일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사실이 있다”고 진술했다. 특검은 김 여사가 같은 날 명 씨에게 전화해 “(윤석열 당시) 당선인이 (김영선을) 밀으라고 했다”고 말한 내용이 담긴 녹취록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 샤넬백 목걸이 행방엔 “받은 적 없다”
특검은 건진법사 청탁 의혹 관련 윤모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통일교 현안을 청탁하면서 건진법사 전 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건넨 6000만 원대 그라프 목걸이와 샤넬백, 샤넬 신발 등의 향방에 대해서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여사는 “선물받은 적 없고 청탁관계 역시 성립할 수 없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특검은 또 2022년 6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정상회의 순방 당시 김 여사가 착용한 6000만 원대 반클리프아펠 목걸이와 김 여사의 오빠 김진우씨 장모 집에서 발견된 모조품이 동일한 물품인지도 물었다고 한다. 김 여사는 “반클리프 목걸이의 경우 모조품이 맞고, 모친(최은순 씨)에게 선물한 것을 다시 빌려찼던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직자윤리법상 500만 원이 넘는 귀금속은 재산 신고를 해야하지만, 애초 최 씨에게 빌린 것이어서 재산신고 대상이 아니었다는 취지다.
● 이르면 7일 영장 청구 검토
특검 안팎에선 아직 김 여사를 상대로 조사할 혐의가 많이 남아있는 만큼 김 여사를 최소 한 차례 더 부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특검법상 김 여사 관련 수사대상만 총 16개로,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과 집사 게이트 및 코바나컨텐츠 협찬 의혹,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사 특혜 의혹 등에 대해서도 김 여사 진술이 필요해서다.
다만 특검은 첫 조사에서 김 여사가 혐의를 일체 부인한 점에 비춰볼 때 추가 조사가 무의미하고 보고 이르면 7일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 여사가 관련자들과 입을 맞추는 등 증거인멸 우려가 크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줬다.
송유근 기자 big@donga.com
이기욱 기자 71wook@donga.com
최미송 기자 cms@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