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중국 정부가 일본의 차기 총리로 유력시되는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신임 총재의 선출과 관련해 “역사와 대만 문제에서 일본이 기존의 정치적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경고했다.
![]() |
4일 실시된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자민당 신임 총재로 선출된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사진=AFP) |
5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4일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담당상이 자민당 새 총재로 선출된 직후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는 일본의 선거 결과를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의 내부 사안”이라면서도 “일본이 중일 4대 정치문건의 각 원칙과 공동인식을 준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역사와 대만 등 중대한 문제에서 정치적 약속을 지키고, 건설적이며 이성적인 대(對)중국 정책을 펼치길 기대한다”며 “전략적 호혜 관계의 전면적 추진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이 언급한 ‘중일 4대 정치문건’은 △1972년 중일 공동성명 △1978년 중일 평화우호조약 △1998년 중일 공동선언 △2008년 중일 전략적 호혜관계 공동성명을 의미한다. 이 문건들은 ‘하나의 중국’ 원칙과 주권 및 영토의 상호 존중, 패권주의 반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은 일본이 이 원칙을 훼손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사실상 경고 형태로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다카이치 신임 총재는 자민당 내 대표적인 강경 보수 인사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노선을 계승한 인물로 평가된다. 중국 내에서는 ‘여자 아베’로 불릴 정도로 대중 강경 발언을 이어온 그가 총리로 취임할 경우, 미·일 공조 강화 및 대만 지원 기조를 이어가며 중일 관계가 경색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또 다카이치 총재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를 정기적으로 참배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역사 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갈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일본이 중일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훼손하지 않고, 대결이 아닌 협력의 길을 선택하길 바란다”며 “새 총리가 양국 관계의 긴장을 완화할 현실적 선택을 할 수 있을지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