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구글과 헤어질결심 "퍼플렉시티AI 탑재 추진"

2 week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플이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AI 기반 타사 서비스로 변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구글의 주가가 급락하고 인터넷 기업 주가에도 하락세가 나타났다.

애플의 부사장은 구글의 대체 검색기능에 대해 언급하며 구글로부터 연간 약 200억 달러를 수익으로 얻고 있는 현재의 구조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검색광고 비중이 높은 매출 구조로 인해 AI 관련 투자의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엔진 사용하는 애플
다른 AI 서비스 적용 예고
애플과 파트너십 종료 우려에
구글 주가 하루만에 7% 급락
AI 지각생 애플의 본격 공세
국내 기업 '네카오'까지 긴장

사진설명

애플이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인공지능(AI) 기반 타사 서비스로 변경할 것이라는 전망에 구글의 위상이 흔들릴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됐다. 이 여파로 국내에서도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인터넷 기업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7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에서 알파벳 클래스 A(GOOGL)와 클래스 C(GOOG) 주가가 각각 전 거래일 대비 7.26%, 7.51% 급락했다. 두 주식의 차이는 의결권 보유 여부로, 의결권이 없는 GOOG도 배당은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이날 나스닥(0.27%)과 S&P500(0.43%)이 강보합권을 보였지만 구글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것은, 애플이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에디 큐 애플 부사장은 이날 구글의 검색 시장 반독점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아이폰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사파리(Safari)를 AI 기반 검색 기능 중심으로 개편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애플은 사파리 기본 검색엔진으로 구글 외에 야후, 빙 등 여러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지만 대부분 이용자는 기본값인 구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구글은 자사 검색엔진을 사파리 기본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1년에 약 200억달러를 애플에 납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큐 부사장은 "챗GPT, 퍼플렉시티, 앤스로픽 등 AI 기반 검색 기능이 기존 검색엔진을 대체하게 될 것이며, 퍼플렉시티와는 실제로 아이폰 검색 기능 탑재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만약 구글이 아이폰 기본 검색엔진 자리를 빼앗기면 이는 회사 운영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알파벳은 지난해 3500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는데, 그중 과반인 1980억달러가 구글 검색광고에서 나올 정도였다. 현재 아이폰은 전 세계 모바일 인터넷 사용량의 3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구글은 검색 결과에 자사 AI 챗봇 제미나이를 최상단에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으나 투자자들의 의구심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알파벳은 이번 1분기에 호실적을 냈음에도 올해 들어 GOOGL 주가는 20.03%, GOOG는 19.76% 하락했다. 더구나 구글은 현재 검색광고 시장의 지배력이 지나치게 높다는 이유로 미국 법무부에서 반독점 재판에 휘말리는 등 이중고에 빠진 상태다.

심지현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실적에서는 AI와 검색의 동반 성장을 강조해야 하지만, 재판을 위해 지배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AI가 검색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이튿날 국내 증시에서도 주요 인터넷 기업의 주가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네이버는 전일 종가 대비 5.22% 급락했고, 카카오 역시 3.52% 하락세를 보였다.

두 회사 역시 매출에서 검색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만 차세대 먹거리 사업인 AI에 관해서는 투자자들의 의구심이 계속되고 있다.

가령 지난 한 해 네이버가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매출에서 약 37%를 차지하는 검색광고 시장의 호조세 덕분이었다. 하지만 자체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의 실적 기여 시점에 대해서는 예단하기 어렵다.

카카오 역시 포털 사이트 '다음'의 시장 영향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오픈AI와의 협업과 관련한 구체적인 청사진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김대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