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급등하자…서울시 부동산시장 모니터링 강화

2 week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체계를 개편해 전문성을 높이고,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외부 전문 인력을 채용해 분석 범위를 확장할 예정이다.

센터는 실거래 평균가격과 거래량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를 진행하며, 기준금리와 가계부채 등의 거시경제 지표도 반영할 계획이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 변동에 대응해 센터는 국토교통부에 매매 및 전세 계약의 구체적인 주소 정보를 요청하며 본격적인 분석에 착수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거래량 조사 대상 분양권·경매로 확대
1천가구 이상 정비사업 시장영향 의견 제시
국토부에 1~5월 거래 실제 주소 정보 요청

서울 아파트 전경. [매경DB]

서울 아파트 전경. [매경DB]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체계를 개편해 부동산 정책 전문성을 높인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최근 시의회에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개편안’을 보고했다.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지난 5월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지원센터가 확대 개편한 조직이다. 부동산금융분석팀이 추가되고, 여기에 외부 전문 인력 채용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번 개편안엔 센터가 분석하는 자료의 범위를 넓히는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으로 다른 기관의 가격 지수와 서울형 가격 지수에 더해 사업지별 실거래 평균거래가격도 분석하기로 했다.

거래량은 매매와 전월세 거래 외에도 입주권·분양권 거래와 경매 거래량도 추가로 살필 계획이다. 주택금융은 주택담보대출금리 외에도 정책금융, 은행 내부 주택담보대출 관리 내용도 분석에 포함하기로 했다.

부동산 심리 조사를 위해서는 서울 지역 중개사 460명과 전문가 40명에 서울과 연접한 10개 시 100명의 공인중개사와 금융권 전문가 10명을 추가할 방침이다.

또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 분석을 위해 기준금리, 물가, 통화량, 가계부채에 더해 경기지수와 가계금융복지 조사도 참고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센터는 지금까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지의 계획수립과 인허가 관련 의견 제시 대상 기준을 2000가구 이상에서 1000가구 이상으로 확대한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심상치 않자 센터는 본격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최근 센터는 국토교통부에 1~5월 서울시 내 모든 아파트 매매·전세 계약의 실제 주소 정보를 요청했다. 현 실거래가 시스템으로는 구체적인 호수 정보까지 알기 어려워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한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