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최상급 플래그십 모델 가격이 23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34만원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보급형과 기본형 모델도 120만~160만원대로 치솟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로젠블래트증권 분석가들은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폭탄'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아이폰 가격이 30~40% 인상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애플은 연간 2억2000만대 넘는 아이폰을 판매하고 있는데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 애플 입장에선 유럽·중국도 주요 시장으로 분류되지만 핵심 시장은 역시 미국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을 상대로 상호 관세 34%를 적용한다고 발표해, 합산 총 54%에 이르는 관세가 적용된다. 애플 입장에선 관세 부담을 추가 비용으로 떠안을지, 소비자에게 전가할지 선택해야 할 처지가 됐다.
시장에서도 애플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인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당일 애플 주가는 9.3% 하락해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했다.
애플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16 기본형 가격은 1142달러(약 166만원)로 인상될 수 있다. 로젠블래트증권은 아이폰 가격 인상폭을 최대 43%로 예상했다. 이 제품은 앞서 799달러(약 116만원)에 출시됐다.
최상급 플래그십인 아이폰16 프로 맥스는 저장 용량 1TB 기준 1599달러(약 232만원)에서 2300달러(약 334만원)로 인상된다는 관측이다. 최근 보급형으로 출시된 아이폰16e도 257달러 인상된 856달러(약 124만원)에 이를 수 있다.
애플은 아이폰 가격 인상 가능성에 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 때와 달리 애플에 관세를 면제할 가능성도 낮아 아이폰의 가격 인상 가능성에 더 힘이 실린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과거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면서도 현지 생산기지를 둔 애플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이 같은 예외를 두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바튼 크로켓 로젠블래트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중국 관세 문제는 지난번처럼 미국의 상징인 애플에 관대하게 대할 것이란 예상과는 완전히 반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인상하는 덴 한계가 있다는 관측도 있다. 안젤로 지노 CFRA리서치 주식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통상적 가격 인상 방식에 따라 올가을 아이폰17 출시 전까지는 휴대폰 가격을 크게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 공동창립자인 닐 샤는 애플이 관세 부담을 상쇄하려면 평균적으로 아이폰 가격을 최소 30%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크로켓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관세는 애플에 큰 타격이 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최대 400억달러의 손실을 입힐 수 있다"며 "트럼프가 미국의 상징을 무너뜨릴 것이라고 상상하긴 어렵지만 상황이 매우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