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 털지 말고 지나가세요”…눈살 찌푸려지는 차에 붙은 경고 스티커 ‘논란’

12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 스티커에 담긴 위협적인 문구가 논란이 되고 있으며, 이는 초보 운전자에 대한 배려와 협조를 요구하는 목적에 반하는 경우가 많다.

작성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동차 스티커 사진을 올리며 차주에게 민망하지 않냐고 질문했고, 이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은 부정적인 분위기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보 운전 표지의 규격화를 의무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관련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일부 운전자가 초보임을 알리거나, 배려를 부탁하는 등의 목적으로 붙이는 차량 스티커에 위협적인 문구를 담아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동차 스티커 올타임 넘버원’이라는 제목의 글과 한 장의 사진이 올라왔다.

사진은 한 차량의 후면 유리에 부착된 스티커 모습이다. 스티커에는 “성격 드런(더러운) 아빠하고 운동하는 아들내미 타고 있다. 시비 털지(걸지) 말고 지나가자, 좋은 게 좋은 거다 생각하고 지나가라”는 문구가 적혔다.

사진을 공개한 작성자는 “차주분 민망하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시비는 본인이 걸고 있는 것 같다”, “이런 거 공공 협박죄 적용 안 되나”, “배려를 부탁하는 건데, 저렇게 공격적인 문구 보면 운전하다 화만 나더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양해와 배려를 구하는 목적의 차량 스티커가 다른 운전자에게 불쾌감이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됐다. “애기 아빠 무서워요”, “건들면 이빨 부숴 드립니다”, “뒤에서 빵빵거리면 이 차는 정지함”, “앞 차에 시비를 걸 때는 피를 볼 각오로 하자” 등의 사례다.

지난 2017년에는 뒤차의 상향등 공격에 반격하겠다며 ‘귀신 스티커’를 부착한 차량이 즉결심판에 넘겨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해외처럼 표준화된 초보운전 표지 부착 의무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2022년 12월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차량 뒷유리에 부착하는 ‘초보운전 스티커’를 규격화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당시 홍 의원은 “초보운전 표지가 규격화되면 타 운전자들이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질 뿐 아니라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방어운전, 주의운전 생활화로 안전한 교통문화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 한국에는 차량 뒤에 부착하는 스티커와 관련한 별도의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영미권 국가 및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정식 운전면허를 받기 전 일정 기간 초보 운전자임을 나타내는 표식을 의무 부착해야 하며, 그 규격과 위치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9년 초보 운전 스티커 자율화 이후 초보 운전 스티커 부착 여부뿐 아니라 디자인, 크기, 위치까지 운전자 개인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