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당정 “한미협상 관세 취약업종 피해 완화 정책·예산 지원”

2 day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에 대해 향후 추이를 지켜본 후 결론 내리기로 했다.

또한 한미 통상협상에 따른 관세 취약 업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책과 예산 지원에 주력할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관세 피해 완화를 위한 세부 계획을 검토하며, 정부에 대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금융 패키지 조성 등의 후속 조치를 요청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고위당정협의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1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고위당정협의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정부와 여당은 논란이 되고있는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향후 추이를 지켜보고 결론 내기로 했다.

또 타결된 한미 통상협상에 따른 관세 취약업종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책과 예산 지원에 주력할 방침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오늘 당정 협의회에서) 주식 양도세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며 “당정 간 긴밀하게 논의하고 조율했으며, 향후 추이를 좀 더 지켜보며 숙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 정책위원회가 (양도세 대주주 기준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과세 대상이 확정되는 연말에 대주주 기준(10억원) 적용을 피하려는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 주식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며 투자자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당 정책위가 당내 의견 등을 취합해 양도세 대주주 기준 방안을 도출했다.

당정은 또 한미 관세협상에 따른 후속 조치를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당정은 앞으로 관세 취약 업종과 중소부품기업에 대한 수출 애로 해소 지원, 주요 업종별 관세 영향분석 및 지원방안 마련 등 국내 관세 피해 완화 관련 정책과 예산 측면 지원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은 정부에 한미통상 합의 내용에 따라 미 측과 자동차 관세 인하 시기 등 협의를 진행하는 한편 우리 기업의 미국 시장 기회 창출을 위한 대미 금융 패키지 조성 및 활용 방안 구체화 등 후속 조치를 면밀히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