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의 수복 작전에 투입된 북한군이 무엇을 먹고, 어떤 훈련을 받는 지 등의 생활모습이 곧 영화로 공개될 예정이다.
주북 러시아대사관은 27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고려인 5세 출신의 러시아 언론인 마리나 킴이 쿠르스크 지역의 북한군 부대를 방문해 촬영한 영상이 영화로 제작된다며 일부 내용을 소개했다.
대사관이 공개한 일부 장면을 보면, 북한군이 수건·비눗갑·면도칼·치약·소독액·예비 단추·비상용 약·붕대 등이 있는 군장을 지니고 참전하는 모습이 담겼다.
북한군은 전투 현장에 투입될 때 항상 등에 ‘공병삽’을 필수적으로 차고 다닌다고 한다. 빨리 참호를 파서 적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또 파병 북한군이 소속된 부대에서의 전투 훈련 모습도 영화에 담길 예정이다. 파병 북한군은 대남 기습전 훈련을 받은 폭풍 부대 소속이다. 러시아산 최신형 소총 AK-12와 예비 탄창 12개, 방탄조끼 등의 특수 장비를 착용한 채 훈련에 임했다고 한다.
북한군은 지난해 10월부터 단계적으로 1만~1만2000여명이 파병됐다. 올해 초에는 사상자를 보충하기 위해 수천명이 추가로 파병된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인 김씨는 북한군의 전투 환경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환경도 취재했다. 부대 안 식당에는 아침·점심·저녁 세 번의 식사 시간이 한국말로 적힌 채 안내돼 있다.
병사들은 매일 소금에 절인 돼지비계(라드)와 빵, 달콤한 과자를 주식으로 배급받는다. 이 중 북한군 병사들은 돼지비계를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열량이 높은 이 음식은 매일 땀을 많이 흘려 에너지 소비가 큰 병사에게 꼭 필요한 음식이기도 하다.
또 러시아 군인들이 토마토 소스와 겨자를 곁들여 식사하는 반면, 북한군의 식탁에는 간장과 고춧가루가 항상 올라갔다고 전했다.
또 북한군은 ‘훈련도 전투다’ ‘전우들의 복수를!’과 같은 글씨를 부대에 걸어 두기도 했다.
이 밖에도 쿠르스크 일대는 일교차가 커 밤이면 난로가 필요한 정도라고 한다. 막사는 무쇠 난로가 타오르고 당직 장교가 끊임없이 장작을 넣어 태우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김씨는 “북한군 특수부대원의 훈련은 최고 수준으로 현대전의 복잡한 전술을 완벽하게 숙달했다”며 “(그들은) 아직 화약 냄새를 맡지 못한 젊은 전우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공유할 준비가 돼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