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도매업 법인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B 씨는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받았지만 해당 세금계산서상 기재된 부가가치세를 내지 않아 고액체납자로 지정됐다. 세무당국은 법인과 체납자 금융계좌에 수억 원 상당의 수표가 발행됐으나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지급정지에 나섰다. 이어 당국은 탐문을 통해 B 씨의 주소지와 법인 사업장을 동시에 수색, B 씨의 주소지에서 신문지로 덮어 쓰레기로 위장한 10만 원권 수표 다발을 발견해 총 5억 원을 징수했다.
국세청이 지난해 재산 추적 조사를 확대해 총 2조8000억 원 상당을 강제징수했다고 10일 밝혔다. 정부는 위장 이혼, 종교단체 기부, 차명재산, 해외 도박 등 지능적 수법을 통해 고액의 세금을 내지 않은 상습체납자 710명을 추적 중이며, 앞으로도 고액체납자에 대한 추적조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세청이 발표한 재산 추적 조사 대상자에는 해외 도박, 명품가방 구입, 주소지 위장 후 고가주택 거주 등 호화 사치를 부리는 상습체납자(362명)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들은 국내외 도박장이 개설된 호텔 등에 숙박하며 현금으로만 생활하는 등 세금을 내지 않았다. 소형 다세대 주택에 위장 전입한 후 실제로는 모친의 고가 주택에 거주하며 현금 및 골드바 등을 은닉하다 적발된 사례도 있었다.
이외에도 위장이혼, 특수관계 종교단체 기부, 편법 배당 등으로 강제징수를 회피하거나, 아예 차명계좌나 은행 대여금고로 재산을 숨긴 체납자 등도 있었다.
국세청은 “고액상습체납자에 대해서는 재산 추적 조사, 명단 공개, 출국 금지 등 모든 강제징수 수단을 총동원해 공정과세를 해치는 반칙 행위에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수현 기자 newso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