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봉동 성균관대 야구장(사진) 등 서울 유휴부지 네 곳에서 4000가구를 추가 공급한다. 빈 땅이 많지 않은 도심지에서는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한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장기간 방치된 학교용지와 노후 청사 부지의 선도사업도 시작한다.
정부는 성균관대 야구장(1800가구), 송파구 위례신도시 업무시설 부지(1000가구), 서초구 한국교육개발원 부지(700가구), 강서구청 가양동 별관 이전 예정 부지(558가구) 등을 주택 공급에 활용한다고 7일 밝혔다. 한국교육개발원은 2017년 충북혁신도시로 이전한 후 장기간 방치돼 있다. 강서구에서는 가양동 별관, 강서구의회, 강서구보건소가 내년 이전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노후 공공청사(2만8000가구), 노후 공공임대(2만3000가구), 학교용지(3000가구), 공공택지 내 상가 등 상업용지의 주택 용지 전환(1만5000가구) 등을 통해 7만3000가구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학교용지는 서울 내 알짜 땅이 많아 수요 분산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수도권 네 곳에서 선도사업에 나선다. 수도권에 방치된 미사용 학교용지는 200여 곳으로 추산된다. 준공 30년을 넘긴 공공청사와 유휴 국·공유지는 범부처 심의기구를 신설해 복합 개발 필요성을 검토하도록 의무화한다. 서울 내 준공 30년 이상 노후 영구임대는 용적률 최대 500%의 고밀 재건축을 통해 분양 물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준주택도 활용한다.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을 신축 매입 방식으로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14만 가구가 착공되도록 할 방침이다. 수도권 생활숙박시설 약 1만 실을 주거용 오피스텔로 용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