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일 "K뷰티, 트럼프 관세 전쟁에도 끄떡 없을 것"

3 weeks ago 5

서재일 "K뷰티, 트럼프 관세 전쟁에도 끄떡 없을 것"

“K뷰티는 도널드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전쟁의 후폭풍 속에서도 끄떡 없을 것입니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더터닝포인트의 서재일 대표(사진)는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주요 화장품 편집숍 세포라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최소 30~40달러지만, K뷰티는 대부분 10~15달러대”라며 “관세 10%가 아니라 25%가 붙는다고 해도 가격경쟁력을 지키면서 인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쟁자인 C뷰티(중국산 화장품)도 아직까지는 메이드 인 차이나 ‘딱지’에 대한 거부감이 커 위협이 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서 대표는 IBM컨설팅과 아모레퍼시픽 인수합병(M&A) 및 투자팀을 거쳐 2010년 최지훈 대표와 더터닝포인트를 설립했다. 글로벌 K뷰티 붐이 일기 전인 2016년부터 아미팜, 티르티르, 오호라 등 뷰티 관련 기업에 일찌감치 투자한 전문가다.

더터닝포인트는 지난해 K뷰티산업 ‘빅딜’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구다이글로벌, 미래에쿼티파트너스와 손잡고 ‘스킨1004’ 운영사로 유명한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지분 85%를 2456억원에 인수했다. 스킨1004의 2023년 기준 매출이 670억원대였지만 지난해 매출 2800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중국 등의 수출 비중은 98%에 달한다.

수많은 K뷰티 브랜드 가운데 스킨1004의 성장세가 특히 두드러지는 이유에 대해 서 대표는 ‘시장 선점’을 꼽았다. 그는 “미국에서 비건 화장품 원료인 ‘센텔라’를 치면 스킨1004만 뜰 정도”라며 “단순히 한두 개 히트 제품에 의존하지 않고, 비건 뷰티에서 확실한 카테고리를 선점했다는 뜻”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1~3월 스킨1004의 매출이 전년의 2.5배를 웃도는 만큼 올해 연매출 5000억원은 물론 수년 내 인디 K뷰티 브랜드 최초로 매출 1조원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대표는 “지난해 K뷰티 상위 세 곳의 점유율은 10%에 그쳤지만, 향후 5~10년간 활발한 인수합병(M&A)으로 상위 기업들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스킨1004처럼 성분 등 확실한 강점이 있는 기업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