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전·하이닉스 다음, 어딘지 아시죠?”...증권가 ‘소부장’ 목표가 쑤욱

2 hours ago 1

증권

“삼전·하이닉스 다음, 어딘지 아시죠?”...증권가 ‘소부장’ 목표가 쑤욱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증권사들이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의 목표 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고 있다.

AI 수요 증가에 따른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제조 공급망 확장이 예상되며, 주요 기업들의 주가는 이미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D램 증설 규모와 함께 메모리 수요 폭증 속에 생산량 확대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AI반도체 거품 논란 지속에도
메모리 생산설비 확대 가능성
증착장비 제조하는 원익IPS
4개 증권사서 목표주가 올려
솔브레인·이수페타시스 상향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치솟는 가운데 증권가에선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목표주가도 일제히 올리고 있다. 인공지능(AI)발 ‘슈퍼 사이클’에 돌입한 반도체 산업의 온기가 완제품에 이어 제조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는 기업들로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사진설명

10일 증권가에 따르면 이날 하루에만 원익IPS, 이수페타시스, 솔브레인, 해성디에스, 이오테크닉스 등 다수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의 목표 주가 상향이 이뤄졌다.

특히 이날 원익IPS에 대해 삼성증권, NH투자증권, BNK증권, SK증권 등 4곳 이상의 증권사에서 목표 주가를 올렸다. 이 가운데 SK증권이 기존 7만원에서 9만원으로 가장 높은 목표 주가를 제시했다. 원익IPS는 반도체 전 공정에 필요한 증착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 증착은 웨이퍼 표면에 얇은 막을 입히는 반도체 핵심 공정이다.

문준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AI 수요가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며, 메모리 반도체 증설 계획 상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원익IPS의 고객사인 메모리 업체들의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고 목표 주가 상향 조정 이유를 밝혔다.

솔브레인도 이날 SK증권이 25만원에서 35만원으로 목표 주가를 올렸다. 솔브레인은 반도체 식각액, 전구체, 슬러리 등을 공급하는 반도체 소재 대표 기업으로 꼽힌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본격적인 D램 투자가 시작되고, 낸드플래시 업황도 AI 수요로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식각액 공급이 늘어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SK증권은 반도체 장비업체 이오테크닉스의 목표 주가도 이날 27만원에서 33만원으로 상향했다. 이 회사는 레이저로 반도체 웨이퍼, 칩, 패키지 등에 식별 정보를 새기는 레이저마커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레이저마커는 통상 웨이퍼 투입량에 비례해 매출이 증가한다.

반도체 인쇄회로기판(PCB) 제작업체인 이수페타시스의 경우에도 이날 NH투자증권이 목표 주가를 9만1000원에서 13만원으로 크게 높였다. AI 연산량이 늘어나면서 고성능 기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해성디에스에 대해서도 이날 신한투자증권이 기존 6만2000원에서 6만4000원으로, 메리츠증권이 기존 6만원에서 6만5000원으로 목표 주가를 상향했다. 국내 메모리 반도체 고객사와 차량용 반도체 고객사의 수요 증가세에 주력인 패키지 기판과 리드프레임의 수익 개선이 기대된다는 이유에서다. 리드프레임은 반도체 칩과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칩을 기판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금속 부품이다.

오강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패키지 기판 매출은 단기 사이클이 아닌 중장기 구조적 개선으로 밸류에이션 상향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리드프레임 업황 개선까지 이어지며 성장 가속화 구간에 진입했다”고 내다봤다.

증권사들이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의 주가를 일제히 올리는 것은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따른 수요 증가로 증설을 통한 생산량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늘어난 물량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장비 투자부터 소재, 부품까지 산업 전방으로 온기가 확산된다는 것이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투자로 내년 증설 규모가 각각 11만장, 10만장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AI 내 메모리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공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2027년까지 증설 사이클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원익IPS

    240810, KOSDAQ

    69,900 + 5.11%
  • 솔브레인

    357780, KOSDAQ

    268,500 + 3.67%
  • 이오테크닉스

    039030, KOSDAQ

    279,500 + 6.68%
  • 이수페타시스

    007660, KOSPI

    117,100 + 12.60%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