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家 세모녀, 1.7조 삼전 지분 처분

1 day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 오너 일가가 상속세 납부를 위해 1771만6000주의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하는 신탁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이 밝혔다.

이번 매각이 완료되면 이재용 회장의 지분이 홍라희 명예관장보다 적어져 최초로 그의 지분율이 낮아지게 된다.

세 사람은 "세금 납부 및 대출금 상환"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재용 회장은 별도로 배당 수익과 개인 대출로 세금을 충당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납부·대출 상환 목적
이재용, 모친 지분율 첫 추월

삼성 오너 일가가 상속세 납부를 위해 대규모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한다.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보유 지분이 모친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을 처음으로 넘어선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홍라희 명예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은 전날 신한은행과 총 1771만6000주의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하기 위한 신탁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종가(9만7900원)를 기준으로 한 매각 규모는 약 1조7344억원에 달한다.

계약기간은 내년 4월 30일까지다. 신한은행이 이 기간 내 주식을 분산 처분하는 구조라 삼성전자 주식의 유통 물량이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세 사람은 신탁계약 목적을 “세금 납부 및 대출금 상환”이라고 밝혔다. 이재용 회장을 포함한 삼성 오너 일가 4인은 지난 2020년 상속 개시 이후 5년간 6회에 걸쳐 총 12조원의 상속세를 분할납부(연부연납) 중이다. 내년 4월 마지막 6차 납부를 앞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 모녀는 삼성전자뿐 아니라 삼성물산, 삼성SDS, 삼성생명 등의 지분을 매각하거나 주식담보대출을 통해 세금을 마련해왔다. 반면 이재용 회장은 배당 수익과 개인 대출로 세금을 충당하며 주식을 그대로 보유했다.

매각이 마무리되면 홍 명예관장의 보유 주식은 기존 9797만8700주(1.66%)에서 8797만8700주(1.49%)로 줄어든다.

지분율은 처음으로 이 회장(9741만4196주·1.65%)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부진 사장은 4174만5681주(0.71%), 이서현 사장은 4557만4190주(0.77%)를 보유하게 된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삼성전자

    005930, KOSPI

    97,900 + 0.20%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