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출판·문화계 7개 단체들이 사유화 논란이 불거진 서울국제도서전 운영 방식과 관련해 작가·서점·독자 등 출판계가 모두 참여하는 공적 논의의 장을 만들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 |
2024 서울국제도서전. (사진=방인권 기자) |
문화연대·블랙리스트 이후·어린이청소년책작가연대·전국동네책방네트워크·책읽는사회문화재단·한국작가회의·한국출판인회의 등은 30일 ‘서울국제도서전 공공성 회복을 위한 공적 논의를 제안합니다’라는 제목의 연대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최근 서울국제도서전을 둘러싸고 불거진 ‘사유와 반대’ 운동이 “출판계 ‘내홍’으로 보여 안타깝다”면서 “현 사태는 서울국제도서전에 내재한 본질적 공공성과 이에 대한 뜨거운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가 지난 수십 년간 서울국제도서전을 이끌며 한국 출판문화 발전을 위해 쏟아온 노고와 헌신은 높이 평가한다”며 “문제는 도서 생태계 구성원 사이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도서전에 예산 지원을 빌미로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의 그릇된 인식,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공론화 과정 없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도서전 운영 방식을 (출협이) 채택한 것에 있다”고 지적했다.
출협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도서전은 지난해부터 문체부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출협은 서울국제도서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자본금 10억원을 투자해 서울국제도서전을 주식회사로 전환했다. 현재 노원문고, 사회평론, 출협이 10억원 중 각 3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이에 출판계 일각에서는 출협이 서울국제도서전을 사유화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출협은 “공익목적을 벗어난 지나친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출협은 법률자문을 구해 서울국제도서전과 별도의 계약을 맺어 이사와 감사 각 1의 지명권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울국제도서전의 개최에 관한 권한을 유지하도록 했고 공적 목적으로 운영될 의무를 지우도록 했다”고 해명했다.
출판·문화계 단체들은 “지금은 서울국제도서전을 사랑하고 키워왔던 더 많은 주체들이 함께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며 “작가, 서점, 독자들까지 이 문제에 깊이 공감하고 있는 지금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논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공적 논의기구 구성 △지분 구조 및 법인 형태 근본적인 재검토 △지속가능한 공적 지원의 확대를 출협과 출판계가 함께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이들 단체들은 “서울국제도서전의 진정한 발전은 공공성과 연대의 정신 위에 쌓아 올려질 때 가능하다”며 “마음을 모아 더 넓고 열린 논의의 장으로 나아가야 할 때다. 1주일 이내 의견을 모아 6월의 서울국제도서전 개최 이전에 논의기구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