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의 대통령선거 후보로 최종 확정됐다. 충청, 영남, 호남 경선에서 89.04%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한 데 이어 어제 치른 수도권, 강원, 제주 경선에서도 91.54%를 얻었다. 지난 20대 대선에선 최종 득표율 50%를 겨우 넘기는 우여곡절 끝에 민주당의 대선주자가 됐지만 이번엔 89.77%로 다른 후보를 압도했다. 당내 지지율만이 아니다. 이 후보는 차기 대통령을 묻는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힘 후보들의 지지율을 저만치 앞서가고 있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 시점에서 이 후보가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인 건 분명하다. 국민의힘 후보들 지지율을 다 합쳐도 이 후보에게 못 미친다. 더구나 이번 대선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만큼 상대 당 후보가 자신을 드러낼 시간적인 여유도 별로 없다. 지난 대선에선 이 후보가 민주당 대선주자로 확정된 날짜가 대선을 150일 앞둔 시점이었지만 이번엔 고작 37일 앞두고서다. 보수 진영 후보 확정은 한참 더 남았다. 유권자 역시 깊이 고민하고 선택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하지만 높은 지지율만큼이나 이 후보에 대한 거부감 역시 크다는 점에서 대선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 이 후보가 12개 범죄 혐의로 5개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을 차치하고서라도 많은 유권자가 그의 포퓰리즘 정책과 외교·안보관을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을 앞세운 지난 대선 때와 달리 이 후보가 이번엔 ‘성장’과 ‘실용’을 강조하는 것도 자신에 대한 중도층의 거부감을 줄이려는 전략일 것이다. 공약 역시 ‘부자 몸조심하듯’ 각론 없이 두루뭉술한 총론만 발표했다. 그러면서도 더 센 상법이나 양곡법 개정 등 표가 될 정책들은 강력하게 챙기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후보의 ‘우클릭’ 진정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누가 되든 다음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 무거운 책무를 짊어져야 한다.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둘로 갈라진 국민을 통합하고,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과 외교·안보 환경 변화의 급류에도 대응해야 한다. 지지자만 바라보는 갈라치기 정치로는 헤쳐 나갈 수 없는 난제들이다. 이 후보가 ‘내 편 정치’와 결별할 수 있느냐가 유권자의 선택을 좌우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