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돌이‧빵순이의 성지… ‘오픈런’ 한다는 빵 뷔페, 직접 가봤습니다[동아리]

1 day ago 8

‘동아’닷컴 ‘리’뷰(Review)는 직접 체험한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제품이나 공간, 문화, 예술 등 우리 주변 모든 경험을 다룹니다.

17일 오전 6시50분경 압구정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 앞에 이른바 빵 뷔페로 불리는 ‘그린 플레이트’를 경험하기 위해 50명의 고객이 개점을 기다리고 있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17일 오전 6시50분경 압구정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 앞에 이른바 빵 뷔페로 불리는 ‘그린 플레이트’를 경험하기 위해 50명의 고객이 개점을 기다리고 있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17일 오전 6시 50분경 압구정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 앞에는 이른 아침부터 길게 줄이 늘어서있었다. 9900원에 1시간 동안 빵을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는 이른바 ‘빵 뷔페’를 경험하기 위해 찾은 고객들이다.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은 CJ푸드빌이 최근 문을 연 ‘프리미엄 베이커리 카페’다. 지난해 12월 강남직영점 오픈 이후 두 번째로 선보이는 신규 콘셉트 매장으로, 약 264㎡(80평) 규모다. 이곳에선 하루 선착순 50명에게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빵 무제한 제공하는 ‘그린 플레이트’를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행사는 오전 10시까지 진행되지만 사실상 오픈과 동시에 마감된다. 매장 운영 시간 전부터 50명이 줄을 서있기 때문이다. 이날도 선착순 50명에 들지 못해 발길을 돌린 고객들이 여럿 있었다.

‘그린 플레이트’ 운영 시간에 입장하면 정량만 담아달라는 내용을 포함한 이용 안내문을 받는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그린 플레이트’ 운영 시간에 입장하면 정량만 담아달라는 내용을 포함한 이용 안내문을 받는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고객층은 다양했다. 출근길 직장인부터 등교를 앞둔 학생, 인근에 거주하는 노년층까지 매장 문이 열리길 기다렸다. 오전 7시 매장 문이 열리자 선택받은 고객들도 하나둘씩 입장했다. 이들은 녹색 접시(그린 플레이트)에 원하는 빵을 담았다.빵을 담은 후엔 계산대에서 결제한 후 취식하면 된다. 아메리카노, 우유, 캐모마일티, 페퍼민트티, 잉글리쉬블랙퍼스트티 중 하나도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 이용부터는 같은 접시에 빵을 담고 계산대에 결제 영수증을 보여주면 된다.

‘그린 플레이트’에 해당하는 빵에는 진열대 주변에 그린 플레이트 표시가 되어 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그린 플레이트’에 해당하는 빵에는 진열대 주변에 그린 플레이트 표시가 되어 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특히 ‘요거트 패스트리’, ‘쁘띠 프로마쥬’, ‘딸기 생크림 크라상’, ‘에그마요 소금 버터롤’ 등 제품이 인기였다. ‘오리지널 크라상’, ‘소금 버터롤’, ‘정통 고로케’ 등 스테디셀러도 많았지만,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뷔페 특성상 개성 있는 제품이 우선 선택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빠르게 비어가는 진열대는 직원들이 새로운 빵으로 다시 채웠다.

한 입만 먹고 버린다? 잔반 논란, 현실은…

‘그린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한 고객의 모습. 녹색 접시에 원하는 빵을 담고 계산대에서 결제한 후 취식하면 된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그린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한 고객의 모습. 녹색 접시에 원하는 빵을 담고 계산대에서 결제한 후 취식하면 된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그린 플레이트’는 고물가 시대에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빵을 즐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운영 초기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다만 다양한 제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마케팅 취지와는 달리 ‘빵을 한입만 먹고 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매장 상황을 공유한 유튜브 후기 영상 등이 올라오면서다. 영상에는 퇴식구에 먹다 남긴 빵이 가득한 모습이 담겼다.

최근 이러한 행태를 지적하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소비자 인식에도 변화가 생긴 모양새다. 실제로 이날 과도한 낭비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뚜레쥬르 관계자는 “고객께서 입장할 때부터 환경보호를 위해 드실 만큼만 담아달라고 여러 차례 설명 드리고 있다”며 “음식을 남기는 경우도 있지만 많지 않다. 최근엔 언론 보도까지 나오면서 그런 경우가 더 줄었다”고 말했다.

빵을 소분해 제공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와 관련해 관계자는 “빵을 소분하면 수분이 빨리 날아가는 등 제품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소비자들에게 다양하고 맛있는 빵을 선보인다는 행사 기획 취지에 어긋날 수 있어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주 올 것 같아”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

17일 오전 6시50분경 압구정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 앞에 이른바 빵 뷔페로 불리는 ‘그린 플레이트’를 경험하기 위해 50명의 고객이 개점을 기다리고 있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17일 오전 6시50분경 압구정 뚜레쥬르 압구정직영점 앞에 이른바 빵 뷔페로 불리는 ‘그린 플레이트’를 경험하기 위해 50명의 고객이 개점을 기다리고 있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이날 취식 후 매장을 나선 한 여성 고객은 “요즘 화제인 곳인데 마침 집 앞이라 와봤다”며 “저렴한 가격에 음료까지도 마실 수 있으니까 가성비가 좋은 것 같다. 운영 기간과 시간이 확대되면 자주 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잔반 논란도 있는데, 모두가 성숙하게 행동하면 이런 행사가 지속될 수 있는 힘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린 플레이트’는 이벤트성으로 기획된 기간 한정 행사다. 압구정직영점은 이달 3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강남직영점은 주말에만 행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달 27일 종료된다. 행사를 기획한 고현득 CJ푸드빌 베이커리 직영팀장은 “예상보다 많은 고객이 찾아주고 관심을 주셔서 감사한 마음이지만, 운영 시간 확대 등은 정해진 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린 플레이트를 통해 고객 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정말 높은 것을 확인했다”며 “그린 플레이트가 종료되더라도 차별화된 브랜드, 제품 체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해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동아리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황재성의 황금알

    황재성의 황금알

  •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 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