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한국인 300여명 체포 사건이 발생한 미국 조지아주의 주지사가 한국 방문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AJC)은 21일(현지시간)은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실이 지난 8일 "주지사가 곧 한국을 방문하며,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 관계자 면담을 요청한다"는 이메일을 한국어와 영어로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메일에는 "현대자동차는 조지아주의 중요 투자자이며 파트너"라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일은 ICE가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해 한국인 317명을 포함한 475명을 체포한 지 나흘이 지나간 시점이었다.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로 인해, 조지아주 경제에 기여해온 한국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지사가 대응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켐프 주지사는 지난 16일 "이번 사건은 현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비자 문제와 관련해 백악관과 논의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다만 켐프 주지사실은 AJC에 "주지사의 한국 방문은 (ICE의 한국 근로자 체포가 이뤄진) 9월 4일 이전부터 협의 중이었다"며 "이번 방문은 조지아주의 경제, 교육, 문화 파트너와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켐프 주지사의 구체적인 방한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10월 28∼29일 다른 미국 남부지역 주지사들과 함께 참여하는 국제회의가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만큼, 켐프 지사가 해당 행사 참석을 전후해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켐프 주지사의 재임 중 한국 방문은 이번에 3번째지만, 그 심각성은 이전과 다르다는 게 AJC의 분석이었다. ICE의 한국인 체포로 촉발된 한국 국민의 대미 여론 악화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건설 현장의 인력 재투입 문제를 포함한 문제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
한국 방문단에는 트립 톨리슨 서배너 경제개발청장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톨리슨 청장은 "그동안 한국 지도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조지아주와 현대의 관계를 강화해왔으며, 이번 한국 방문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