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압박에 흔들리는 '새벽배송'

11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동계가 과로 방지를 이유로 e커머스업체의 '새벽 배송' 전면 중단을 주장하면서 국내의 새벽 배송 시스템이 위기에 처했다.

이 요청이 받아들여지면 수조 원대의 물류 투자와 소비자 편익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는 연말까지 추가 논의를 통해 새로운 합의안을 내놓을 예정이며, 이로 인해 업계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택배노조의 선넘는 요구
과로방지 내세워 "중단하라"
수조원 투입 배송체계 위기
쿠팡·컬리 "혁신 무너진다"
현장 택배기사 일자리 위협
소비자 "중단하면 너무 불편"

사진설명

노동계가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 방지를 이유로 쿠팡 등 e커머스 업체의 '새벽 배송' 전면 중단을 주장하면서 수조 원을 들여 구축한 국내 새벽 배송 시스템이 흔들릴 위기에 놓였다. 택배 기사들의 과로를 막겠다는 명분이지만 2000만명에 달하는 소비자 편익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동계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소비자 편익은 물론 수조 원대에 이르는 물류 투자와 유통 혁신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업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28일 정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쿠팡 등 국내 e커머스 업체가 주문 다음날 새벽까지 상품을 가져다주는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택배 기사 과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두 개조에 주간 배송만 맡기자는 것이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업무가 폭증한 택배 기사들의 과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는 정부·정당·노동계·택배업계가 참여해 택배 노동자의 근로 환경과 산업 구조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협의체에서 도출된 결과가 정부 정책과 법·제도 개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나온 합의는 사실상 정책·업계 표준으로 여겨진다.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는 택배노조가 요청한 새벽 배송 금지에 대해 추가 논의를 거쳐 이르면 연말 합의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택배 분류 전담 인력 고용 등 민주노총 요구안이 수용된 전례에 비춰볼 때 이번에도 어떤 방식이든 새벽 배송을 제한하는 합의문이 도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번 안이 받아들여지면 쿠팡·컬리 등 e커머스 업체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새벽 배송 업체들은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 물류센터 등 배송 인프라 구축에 수천억~수조 원을 쏟아부었다. 소비자들은 늦은 밤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다음날 아침 상품을 받아보는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된다. 김시월 건국대 소비자정보학과 교수는 "노동자 입장에서는 수당과 근무시간 등의 이유로 새벽 배송을 선호하고 소비자 측면에서도 새벽 배송의 편리함을 찾는 사람이 많아 빠르게 자리 잡은 것"이라며 "정부가 인위적으로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막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선희 기자 / 정석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