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배민 '도어대시' 불황인데도 끄떡없네

6 day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음식 배달 플랫폼 도어대시는 안정적인 배달 수요로 인해 주가가 올해 20.42% 상승하며 202달러로 마감했다.

1분기 동안 총 주문량이 18% 증가한 7억3200만 건을 기록했고, 주당순이익도 월가 예상치를 초과하여 소비자 행동의 회복력을 입증했다.

도어대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으며, 45개국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분기 총 주문량 18% 증가
올해 들어 주가 20% 상승
英 업체 인수해 45개국 진출
생필품 배달 등 품목 다각화

사진설명

미국판 '배달의민족' 도어대시(DASH)가 안정적인 배달 수요와 함께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다. 특히 관세와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강한 면모를 보이면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꼽힌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 도어대시 주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 연중 20.42% 오르면서 202달러로 마감했다. 도어대시는 지난 1년간 72%의 인상적인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며 강력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도어대시는 지난 1분기에 주당순이익(EPS) 0.44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4달러를 웃돌았다.

특히 1분기 총 주문량이 18% 증가한 7억3200만건으로 분기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더 많은 미국인이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에도 1분기 배달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다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토니 쉬 도어대시 최고경영자(CEO)는 "소비자 심리에는 변화가 있어도 소비자 행동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며 "식품은 정말 가장 회복력이 강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영국 음식 배달업체인 딜리버루를 39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힌 것은 미국 내 소비가 둔화돼도 글로벌 창구로 매출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이 거래로 회사는 독일과 이스라엘을 포함해 기존에 사업을 운영하지 않았던 22개국에 진출하게 됐다. 이로써 도어대시는 45개국에서 운영될 예정으로, 30개국은 유럽 국가다.

도어대시는 앞서 레스토랑·호텔 예약 소프트웨어 업체인 세븐룸스를 12억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히는 등 판매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강화하고 있다.

도어대시는 기존 음식 배달을 넘어 식료품, 꽃, 주류, 생필품 등으로 품목을 다각화하고 있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가 배달 애플리케이션으로 음식을 주문할 때 매장 가격 대비 평균 72%까지 더 지급하는 사례도 있었다. 미국 주문 고객이 통상 배달 한 번에 지급한 금액은 평균 34.4달러이며, 이 중 배달 관련 비용(수수료+팁)이 43.6%에 달했다.

[홍성용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