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맙소사’ MIL 어쩌나, 릴라드 왼 발목 아킬레스건 파열…PO가 문제 아니다, 2025-26시즌도 불투명

4 hours ago 3

대단히 좋지 못한 소식이 전해졌다.

밀워키 벅스는 지난 28일(한국시간)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파이서브 포럼에서 열린 인디애나 페이서스와의 2024-25 NBA 동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1라운드 4차전에서 103-129, 대패했다.

이로써 밀워키는 시리즈 전적 1승 3패, 탈락 위기다. 그러나 이날만큼은 패배보다 더 뼈아픈 소식이 전해졌다. ‘릴장군’ 데미안 릴라드가 큰 부상을 당한 것이다.

밀워키는 시리즈 전적 1승 3패, 탈락 위기다. 그러나 이날만큼은 패배보다 더 뼈아픈 소식이 전해졌다. ‘릴장군’ 데미안 릴라드가 큰 부상을 당한 것이다. 사진=샴즈 카라니아 SNS

밀워키는 시리즈 전적 1승 3패, 탈락 위기다. 그러나 이날만큼은 패배보다 더 뼈아픈 소식이 전해졌다. ‘릴장군’ 데미안 릴라드가 큰 부상을 당한 것이다. 사진=샴즈 카라니아 SNS

릴라드는 1쿼터 중반 공격 리바운드를 잡는 과정에서 혼자 쓰러졌다. 이후 왼쪽 발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상대 선수와의 충돌이 아닌 혼자 쓰러졌기에 큰 부상이 우려됐다. 그 결과는 아킬레스건 파열이었다.

‘ESPN’의 샴즈 카라니아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릴라드는 이날 진행된 MRI 검사 결과 부상의 심각성이 확인됐다. 올 시즌은 안타깝게도 막을 내리게 됐다”고 전했다.

‘ESPN’의 자말 콜리어는 “릴라드는 올 시즌을 마감하게 됐다. 그리고 회복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2025-26시즌 출전도 불투명해졌다”고 이야기했다.

밀워키 입장에선 릴라드의 부상은 너무도 아쉽다. 그는 올 시즌 오른쪽 종아리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약 한 달 동안 공백기를 가졌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에 맞춰 복귀, 밀워키를 승리로 이끌 것이라고 예상됐다.

‘ESPN’의 샴즈 카라니아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릴라드는 이날 진행된 MRI 검사 결과 부상의 심각성이 확인됐다. 올 시즌은 안타깝게도 막을 내리게 됐다”고 전했다. 사진=AFP=연합뉴스

‘ESPN’의 샴즈 카라니아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릴라드는 이날 진행된 MRI 검사 결과 부상의 심각성이 확인됐다. 올 시즌은 안타깝게도 막을 내리게 됐다”고 전했다. 사진=AFP=연합뉴스

그러나 릴라드는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활약하지 못했다. 그는 3경기 출전, 평균 7.0점 2.7리바운드 4.7어시스트를 기록, 부진에 가까웠다. 그럼에도 릴라드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분명 클 터. 야니스 아데토쿤보의 플레이오프는 다시 외로워졌다.

더 큰 문제는 릴라드에게 있다. 그는 밀워키와 2025-26시즌까지 계약이 보장되어 있고 2026-27시즌은 플레이어 옵션이 남아 있다. 다만 아킬레스건 부상을 당하며 밀워키에서 얼마나 더 뛸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아킬레스건 부상은 회복 후에도 후유증이 크다. 릴라드는 1990년생으로 은퇴가 가까운 나이. 2025-26시즌에 복귀한다고 해도 기량 회복에 대한 의문 부호가 있다.

한편 밀워키는 최근 3시즌 동안 아데토쿤보 또는 릴라드 중 최소 1명이 플레이오프에서 부상 문제로 결장했다. 이로 인해 2020-21시즌 우승 후 4시즌 연속 ‘광탈’ 위기다.

또 밀워키는 최근 2시즌 동안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인디애나에 1승 3패로 밀린 지금, 릴라드까지 없어 또 한 번 1라운드 벽에 막힐 가능성이 크다.

릴라드는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활약하지 못했다. 그는 3경기 출전, 평균 7.0점 2.7리바운드 4.7어시스트를 기록, 부진에 가까웠다. 그럼에도 릴라드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분명 클 터. 야니스 아데토쿤보의 플레이오프는 다시 외로워졌다. 사진=AP=연합뉴스

릴라드는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활약하지 못했다. 그는 3경기 출전, 평균 7.0점 2.7리바운드 4.7어시스트를 기록, 부진에 가까웠다. 그럼에도 릴라드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분명 클 터. 야니스 아데토쿤보의 플레이오프는 다시 외로워졌다. 사진=AP=연합뉴스

[민준구 MK스포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