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가운데 잠재 위험은 좀 더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 |
(표=iM증권) |
이승재 iM증권 연구원은 2일 부동산 ‘PF 5차 사업성평가 결과 및 시사점’ 리포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부동산 PF는 지난해 6월 새로운 사업성 평가 기준이 마련된 이후 다섯 번째 사업성 평가가 완료됐다.
해당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부동산PF 전체 익스포져(위험노출액)는 186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조1000억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9조9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9월부터 모든 PF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가 이뤄지면서 부실 사업장 정리 속도가 빨라졌다는 설명이다.
유의 여신과 부실우려 여신 규모도 각각 6조2000억원, 14조6000억원으로 전기 대비 각각 4000억원, 8000억원 줄었다. 전체 PF 평가대상에서 이들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도 11.1%로 전기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정리·재구조화 실적은 누적 12조7000억원으로 상반기 목표치(12조6000억원)를 조기 달성하는 등 질서 있는 구조조정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권은 올해 6월 말 기준 2조3000억원으로 1년 전 3조6000억원 대비 36.1% 감소했다. 금융권 전체 PF 대출 잔액도 줄어 올해 3월 말 120조1000억원에서 6월 말 118조9000억원으로 축소됐다.
![]() |
(표=iM증권) |
PF 연체율은 금융권 전체적으로 4.39%를 기록해 전분기 대비 0.1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증권(브릿지론 52.4%, 본PF 18.7%), 여신전문금융회사(브릿지론 12%, 본PF 3.4%) 등 일부 업권에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연체율은 30%에 육박했다. 저축은행과 여전사, 상호금융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이유다.
정부와 금융권, 건설업계는 최근 간담회를 열고 부동산PF 건전성 제도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주요 안건은 △PF 사업 자기자본비율 상향(현행 3% → 20%) △업권별 맞춤형 건전성 규제 정비 △부동산PF 거액신용 규제 도입 등이다.
이 연구원은 “자기자본비율을 중장기적으로 높여간다는 점은 주요국의 PF리스크 관리기조에 맞추어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도 “그만큼 PF사업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금융업과 건설업의 규제 정비 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