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김연서 기자] 글로벌 금융권이 블록체인 기반 자산 토큰화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자산 토큰화 시장이 확산되지 못하는 배경으로 여덟 가지 구조적 장애물을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RWA(Real World Asset) 시장의 기술적 준비는 끝났지만 실제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선 규제 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OECD가 발표한 ‘금융시장에서의 자산 토큰화와 분산원장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RWA 시장의 상업적 확산 사례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OECD는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과 홍보 활동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자산 토큰화 시장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며 “대부분 활동은 민간 및 공공 부문의 파일럿 프로젝트나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상업적 확산 사례는 매우 드물다”고 진단했다.
8가지 장애물이 가로막은 RWA 시장
OECD는 보고서를 통해 토큰화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8가지를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유동성 부족 및 생태계 부재 △실질적 혜택 부재 및 투자비용 부담 △결제 수단(DLT 연동 지급수단) 부재 △즉시 결제(Atomic Settlement) 부작용 △수탁기관(Custodian) 역할 부족 △DLT 인프라 복잡성과 상호운용성 문제 △식별·표준화 부재 △법적 이슈(소유권 인정, 스마트계약 법적 지위) 등이다.
자산 토큰화 시장이 기술적 기대와 달리 본격 확산하지 못한 큰 원인으로는 유동성 부족이 꼽힌다. 충분한 투자자와 발행자를 끌어들일 만큼 거래량이 확보되지 않아 시장 참여가 지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태계 형성도 지체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기대했던 비용 절감이나 거래 효율성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아 기존 금융기관들은 막대한 시스템 전환 비용을 부담하면서까지 토큰화에 나설 유인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으로 보인다.
결제 인프라 부재도 발목을 잡는다. DLT 기반 거래를 완결하려면 온체인 결제가 가능한 지급수단이 필수지만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나 신뢰성 있는 토큰화 예금 시스템이 여전히 부재한 실정이다.
OECD는 이 같은 한계들이 토큰화 거래의 현실적 적용을 어렵게 만든다고 짚었다. 즉시 결제(Atomic Settlement) 방식은 거래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거래 당사자가 현금과 증권을 사전에 확보해야 해 유동성 압박과 자금조달 비용을 오히려 가중시키고 있단 것이다.
인프라·표준·법적 기반 모두 ‘미완성’
신뢰할 수 있는 수탁기관 인프라가 부족한 점도 문제로 꼽힌다. RWA 토큰은 실물과 디지털 간 연결을 보증할 기관이 필요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수탁기관은 암호화폐 보관에 한정돼 있다.
이로 인해 실물 기반 토큰화 확산에 필수적인 인프라가 여전히 미비한 상태다. 또한 폐쇄형 DLT 네트워크가 난립하면서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문제가 심화하고 이는 유동성 분산과 글로벌 거래 제한으로 이어지고 있다.
식별체계 부재 역시 시장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자 인증(KYC)과 토큰 식별(DTI) 등 국제 표준이 정비되지 않아 규제 대응과 시장 신뢰 확보 모두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문제는 법적 불확실성이다.
마지막으로 OECD는 토큰 소유가 실물자산 소유로 인정되는지, 스마트계약의 법적 효력이 어느 수준까지 보장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국가마다 다르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 보호와 거래 신뢰성 구축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술은 준비됐지만 규제는 ‘아직’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법적인 규제가 확충되지 않았기 때문에 토큰화 시장 확장이 어려웠다고 해석된다”며 “어떤 기술을 중심으로 시장을 형성할 것인지, 탈중앙화된 시스템에서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을지, 결제 시스템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일차적으로는 8월에 (미국의) 암호화폐 관련 법안이 통과되는 것이 계기겠다. 팀스콧 미국 상원 은행위원장은 대부분의 암호화폐 법안이 8월 이전에 통과될 것이라고 언급했다”며 “정확한 시점은 미지수이지만 그만큼 빠른 정책 변화를 지지한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기술적인 준비는 끝났다. RWA 시장이 확장되기 위해 남은 것은 현실 세계에 적용하기 위해 확립된 규제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OECD는 보고서를 통해 “기술적 가능성만으로 시장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명확한 법적 기반과 신뢰할 수 있는 금융 인프라 구축이 수반되지 않으면, 토큰화는 금융 혁신이 아니라 금융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리플이 공동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RWA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6000억달러(약 863조원)에서 2030년 18조9000억달러(약 2경7193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
OECD는 ‘금융시장에서의 자산 토큰화와 분산원장기술’ 보고서를 통해 토큰화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8가지를 꼽았다.(자료=OECD) |